분류 전체보기 썸네일형 리스트형 UV 필터의 효과와 효용 / The Benefit of UV Filters - "What Does a Ultraviolet Filter Do?" 카메라 렌즈 기본 액세서리 중의 하나로 UV(또는 MCUV) 필터는 애용되고 있다. 근데 이 필터의 효과나 효용은 무엇일까? 대체로 렌즈 구면의 오염이나 스크래치 등의 방지 등 보호 목적으로 사용하는 경우가 많은데, 실질적인 효과와 그 외 다른 효용은 없는지 수다를 떨어보자. 궁금한 점을 찾아 이리저리 자료를 찾다 보니 필터 하나하나에도 숨겨진 얘기가 참 많다. 모르는 것이 너무 많아서 신나는 상황은 조금 당황스럽다. 자외선(Ultraviolet rays)에 대해 간략히 정리하고 가자. 태양은 광범위한 파장을 가진 빛 에너지를 방출한다. 가시광선의 파란색이나 보라색 광선보다 더 짧은 파장을 가진 자외선 복사는 살갗을 태우고 건강에 해로운 영향을 준다. 성층권에 존재하는 오존층은 대부분의 해로운 자외선이 .. 종이컵을 활용한 렌즈 케이스 평소에 카메라를 늘 가지고 다니려고 노력하는 편이다. 단렌즈를 즐겨 사용하는 탓에 렌즈 하나는 카메라에 물리고 한 두 개의 다른 화각의 단렌즈를 가방에 챙겨 다니는 경우가 많다. 외출할 때마다 전용의 카메라 가방을 항상 들고 다니기가 좀 거추장스럽고, 다른 소지품을 함께 수납하기에는 용도가 썩 알맞지 않은 편이며 선택의 폭이 좁아 정형적인 카메라 가방의 외형에 불만스러울 때가 많았다. 일반 가방에 그냥 카메라와 렌즈만 챙겨 다닐 때면 늘 다른 소지품과 뒤섞이여 가방 안에서 이리저리 뒹굴어 다니기 십상이다. 이럴 때면 카메라나 렌즈는 별도의 케이스나 파우치가 필요하고, (전용의 가죽 케이스나 파우치가 쓸만하고 선택에 따라 저렴한 것도 많지만) 왠지 렌즈 케이스 정도는 스스로 만들어서 해결 가능할 듯해서 이.. <카메라와 렌즈의 구조 VIII> 조리개 개구는 원형이어야 하는가? (원형 조리개) / Construction of camera - Shape of aperture(IRIS) opening Notice - 얄팍한 상식 수준에서 다루는 비전문적이고 깊이 없는 포스팅이므로 숨겨져 있을 오류와 논리적 비약, 수다쟁이의 헛된 망상에 주의가 필요하다. ▶ 조리개 개구에 대한 고찰 (원형 조리개) “왜 이상적인 조리개 개구는 원형일까?” 조리개가 원형의 형태, 정확하게는 조리개 개구가 모든 F/값에서 원형을 유지하도록 설계하고 제조하는 이유는 렌즈의 광학적 성능 즉, 화질과 관련되어 있기 때문이다. 일응 조리개 모양이 광학적 성능이나 화질과 무슨 상관이 있겠냐 하겠지만 모든 것에는 나름 근거와 이유가 있는 것 같다. 조리개 개구의 모서리 또는 꼭짓점의 좁은 틈은 빛의 회절을 심화시키고 이로 인하여 렌즈의 광학적 성능(분해능 또는 해상력)에 악영향을 미친다. 빛의 회절은 작은 구멍이나 틈에서 더 뚜렷하.. <카메라와 렌즈의 구조 VII> 조리개의 구조와 기능 / Construction of camera - aperture, diaphragm Notice - 상식 수준에서 다루는 비전문적이고 깊이 없는 포스팅이므로 숨겨져 있을 오류와 논리적 비약, 수다쟁이의 헛된 망상에 주의가 필요하다. 카메라와 렌즈의 구조라는 카테고리를 이왕 만들었으니 조리개의 구조와 기능에 대해서도 정리해 보자. 이미 작성한 고정 조리개와 가변 조리개 구조에 대한 포스팅 이후에 뒤늦게 수다를 시작해서 선후가 뒤 바뀌어 아쉽다. 기존에 다른 주제들로 포스팅한 내용 중에서 언급한 조리개 관련 자료를 재정리한 것도 있고 새로 추가한 내용도 있다. 일반적인 조리개의 기능에 대해서는 간략하게 개념 정도의 언급만하고자 한다. 검색해 보면 좋은 자료들이 꽤 많다. ▶ 조리개의 기능 (Aperture function in camera) [카메라] 사람의 눈에 있어서 홍채와 같은 기능을.. <카메라와 렌즈의 구조 VI> 고정조리개와 가변조리개 줌 렌즈의 구조 / Construction of camera - Fixed(constant) aperture & Variable aperture Zoom lens structure Notice - 얄팍한 상식 수준에서 다루는 비전문적이고 깊이 없는 포스팅이므로 숨겨져 있을 오류와 논리적 비약, 수다쟁이의 헛된 망상에 주의가 필요하다. 고정 조리개와 가변 조리개(Fixde aperture & Variable aperture)에 대하여 충실하게 설명한 자료를 찾기가 어려워서 솔선수범?의 정신과 휴일을 맞은 잉여력으로 정리해 보았다. 일반적인 상식 수준에서 다루는 깊이 없는 포스팅이므로 숨겨져 있을 오류와 논리적 비약, 헛된 망상에 주의하자. 고정 조리개와 가변 조리개의 용어와 개념이 적용되는 것은 줌렌즈(Zoom lens)에 한정된다. 일반적으로 초점거리(화각)의 변화가 없는 일명 단(單) 렌즈는 고정 조리개라고 할 수 있지만 의미 없는 분류이지 싶다. 먼저 렌즈의 기본적인 표시 명칭.. <카메라와 렌즈의 구조 V> 스마트 폰 카메라의 구조 - 휴대용 전자기기의 카메라 모듈의 광학구성 / Construction of camera - camera module Notice - 얄팍한 상식 수준에서 다루는 비전문적이고 깊이 없는 포스팅이므로 숨겨져 있을 오류와 논리적 비약, 수다쟁이의 헛된 망상에 주의가 필요하다. 렌즈 교환형 카메라 렌즈(SLR, 미러리스, RF 카메라) 등에 대해 수다를 떨다 보니 일상생활에서 항상 접하게 되는 스마트폰이나 태블릿, 또는 노트북 등의 내장 카메라와 비교해 보고 싶었다. 광학 구성이나 작동 원리는 어떻게 다른지 궁금하다. 휴대용 전자기기(스마트 폰 등)에 카메라는 전자기기의 일부를 구성하는 하나의 모듈로 제조되어지는 경우가 일반적이다. 모듈은 호환성을 위해 일부 표준화가 진행되어 표준화 모듈로 제조된다. 화상과 영상을 담는 이미지 센서와 광학부, 포커싱 구동 부분 그리고 프로세스 칩과 본체와의 연결 커넥터 등이 주요 구성 부분이.. <카메라와 렌즈의 구조 IV> 이미지 센서 크기와 회절현상에 의한 화질저하의 상관관계 / Construction of camera - diffraction of light 2 일전에 회절 현상에 대해 긴 수다를 떨었지만, 언제나 제대로 된 마무리를 못하는 듯하다. 기존 수다 내용에 좀 더 보충하여 부족함을 만회하고자 한다. 중언부언하며 의미 없는 수다가 되지 않도록 각설하고, 본론으로 들어가자. 선 이해가 필요한 부분에 대해서는 이전 수다 내용을 참고하자. 2016/11/08 - [사진과 카메라 이야기/Camera & Lens Structure] - 회절현상과 조리개(F값), 그리고 최신 디지털 카메라의 기술적 대응 / Construction of camera - Diffraction of light 회절현상과 조리개(F값), 그리고 최신 디지털 카메라의 기술적 대응 / Construction of camera - Diffraction of light 주제넘게 카메라와 렌즈의.. OVF-광학 뷰파인더- 활용하기 2 / FUJIFILM X-pro1 & X-pro2 Notice - 얄팍한 상식 수준에서 다루는 비전문적이고 깊이 없는 포스팅이므로 숨겨져 있을 오류와 논리적 비약, 수다쟁이의 헛된 망상에 주의가 필요하다. Fujifilm X-Pro 시리즈의 하이브리드 뷰파인더, 그중에서 특히 OVF를 좋아한다. 하지만 이종교배 특히, 올드 수동 렌즈와의 활용에서는 제 기능을 십분 활용하지 못해서 아쉬웠고 어떻게든 활용방안을 모색해서 여러 시도를 해보곤 한다. 일전 포스팅에서 간략한 세팅법으로 긴 수다를 남겼지만, 부족한 이해력과 부실한 활용에 스스로도 못마땅했다. 이에 그간 궁리한 몇 가지 활용 포인트를 정리하고 수동 렌즈 이종교배에서 OVF-광학 뷰파인더- 활용하기에서 미처 다루지 못했던 부분에 일부 보충하고자 한다. 2016/07/21 - [사진과 카메라 이야기/.. 이전 1 ··· 66 67 68 69 70 71 72 ··· 88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