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분류 전체보기

<렌즈의 광학구성(Optical Design)과 구조 X> 렌즈의 색 재현력과 색수차 - 색지움 렌즈와 저분산 광학 유리 / Chromatic aberration - achromatic lens & apochromtic lens(APO) Notice - 상식 수준에서 다루는 비전문적이고 깊이 없는 포스팅이므로 숨겨져 있을 오류와 논리적 비약, 수다쟁이의 헛된 망상에 주의가 필요하다. 렌즈의 사용기나 소개/감상 글 등에서 렌즈의 '색 재현력'이나 '발색', 색감 등의 특징에 대해 이야기하는 것을 자주 보게 된다. 어떤 렌즈는 붉은 계통의 발색이 뛰어나고 어떤 렌즈는 전체적인 색 밸런스가 좋다는 등의 평가는 렌즈를 선택하는데 유용한 참고사항이 된다. 저급한 막눈을 가졌지만, 흑백 필름 시대에 제조된 렌즈들에서는 칼라 필름 또는 최근의 렌즈와는 조금 다른 색 재현력을 느껴 보기도 했다. 이처럼 렌즈의 발색이나 색감 등으로 표현되는 '렌즈 고유의 색 재현력'이 저마다 차이가 있는 이유가 문득 궁금해졌다. 궁금증 해소를 위해 이곳저곳을 뒤적였으나..
<카메라와 렌즈의 구조 X VII> 렌즈 코팅의 광학 원리와 기능 - 코팅 색(칼라)의 원인 / Anti-Reflection coating & Transmittance Notice - 일반적인 상식 수준에서 다루는 비전문적이고 깊이 없는 포스팅이므로 숨겨져 있을 오류와 논리적 비약, 수다쟁이의 헛된 망상에 주의가 필요하다.  렌즈 코팅의 효용은 광학 제품에 있어서 필수불가결한 요소로 여겨진다. 렌즈 등의 코팅 기술이 비단 광학기기에만 사용되는 것은 아니며 최근에는 태양광 발전 패널의 효율을 향상하기 위한 소재 등 활용의 폭은 매우 넓다. 최근 제조되는 대부분의 카메라 렌즈 또는 뷰파인더 등에 사용되는 광학 유리에는 코팅이 적용되어 있다. (일회용 카메라 등에 코팅이 적용되지 않는 경우도 있으므로 모두 적용된다고 할 수는 없겠다) 광학 유리 면의 빛 반사를 억제하고 빛의 투과율을 높이는 기술로 활용된다. 반사율이 낮아지고 투과율이 향상되면 플레어 고스트를 줄일 수 있고 ..
카메라 플래시- 스트로보,스피드라이트-의 발광방식과 발전사 / Construction of camera - Camera flash & Speedlight 카메라 주요 악세사리를 이해하는데 도움이 될 듯해서 플래시의 발광방식과 발전사에 대해서 작성한 이전 포스팅을 링크로 대체한다. 2016/12/05 - [사진과 카메라 이야기/Camera & Lens Structure] - 카메라 플래시- 스트로보,스피드라이트-의 발광방식과 발전사 / Construction of camera - Camera flash & Speedlight 카메라 플래시- 스트로보,스피드라이트-의 발광방식과 발전사 / Construction of camera - Camera flash & Speedlight 모처럼 스피드 라이트를 활용해서 사진을 찍을까 궁리를 하다 보니 문득 카메라 플래시의 역사와 그리고 앞으로의 효용이 어떻게 될까 하는 궁금함과 의문이 들었다. 막연하게 알고 있는 카메..
<렌즈의 광학구성(Optical Design)과 구조 IX> 비구면 렌즈 - 비구면 요소의 효용 / aspherical lens - aspherical surface Notice - 일반적인 상식 수준에서 다루는 비전문적이고 깊이 없는 포스팅이므로 숨겨져 있을 오류와 논리적 비약, 수다쟁이의 헛된 망상에 주의가 필요하다. 최근 카메라 렌즈의 사양을 보면 '비구면 요소 *매 포함/사용' 등의 내용을 흔하게 볼 수 있고, 고가/고 사양의 렌즈일수록 다수의 비구면 요소를 가지고 뛰어난 광학 성능을 구현해 낸다고 일반적으로 알려져 있다. 이런 비구면 요소가 포함된 카메라 렌즈를 흔히 비구면 렌즈로 부른다. 왠지 비구면 요소가 사용되지 않은 렌즈는 빈티지 -한 세대 이전- 렌즈같이 느껴지기도 하고, 최근의 고화소 이미지센서를 사용하는 최신 디지털카메라에서는 으레 비구면 요소 한두 장은 포함된 렌즈를 사용하여야 할 듯한 생각마저 들게 한다.  공공연하게 최신 렌즈 기술 혁신의 ..
<렌즈의 광학구성(Optical Design)과 구조 VIII> 원근 왜곡과 왜곡 수차 / Topogon & Hologon - Perspective distortion & Optical distortion Notice - 얄팍한 상식 수준에서 다루는 비전문적이고 깊이 없는 포스팅이므로 숨겨져 있을 오류와 논리적 비약, 수다쟁이의 헛된 망상에 주의가 필요하다.  카메라로 촬영된 이미지에서 왜곡을 발견할 때가 있다. 중앙부가 도드라져 볼록하게 보이던지, 아니면 주변부가 길게 늘어지는 왜곡이 발생하는데, 이 왜곡의 발생 원인과 그리고 어떤 상황에서 왜곡이 도드라지게 보이는지 수다를 시작해 보자. 수차 감쇄 문제는 광학 설계에서 광학적 성능과 직결되는 가장 핵심적인 사항 중에 하나다. 사실, 수차에 대해 나름 이해하려고 노력하고 있지만, 개념 정리 정도에서 더는 진척이 없고 한 걸음 더 들어가면 어렵다. 실제 촬영된 결과물에서 어떤 수차가 작용해서 문제가 되었는지 구분하는 것도 여의치 않다. 열심히 공부해도 돌아..
필터(노출) 계수와 ND 필터 그리고 필터에 표시된 문자의 의미 / Filter(Exposure) factor & What do ND filter numbers mean? Notice - 상식 수준에서 다루는 비전문적이고 깊이 없는 포스팅이므로 숨겨져 있을 오류와 논리적 비약, 수다쟁이의 헛된 망상에 주의가 필요하다. 필터 계수(filter factor)는 다양한 목적으로 필터를 사용해야 했던 필름 카메라에서 필터 장착으로 인한 노출 보정 계수를 규정하고 나타내기 위한 목적으로 주로 사용되었다. 최근에는 ND 필터를 제외하고는 필터 계수를 잘 표시하지 않는 경우가 많다. 보통 표시되지 않은 필터의 x1의 필터 계수 즉, 투과율 95~100%의 필터이다. ▷ 필터 계수 필터를 사용함으로써 상면(像面)의 조도 저하를 일으키는데, 이 저하에 대한 보정 계수를 필터 계수라 한다. 요컨대 사진 감광 재료에 노광을 주는 경우, 필터를 사용함으로 인한 상면 조도의 저하분을 렌즈의 조리..
디지털 카메라 시대, 빈티지 수동렌즈의 효용 - "올드 렌즈 사용의 辨" / Utility of vintage MF lens 디지털 SLR 카메라가 전성기를 맞이하고 난 이후, 그 간 일부 마니아 층에서만 간간이 애용될 뿐 주목을 거의 받지 못하던 필름 카메라용 수동 렌즈가 디지털 미러리스 카메라의 등장 후 디지털 카메라와 빈티지(올드) 렌즈의 이종 장착(교배)이 꽤 인기를 얻어가고 있다. 그리고 올드 렌즈의 재평가와 함께 덩달아 온라인 상의 거래나 해외 직구도 활발해졌다. 물론 아직 현재의 디지털 카메라와 최신 렌즈들에서 빈티지 렌즈의 효용에 부정적이거나 단지 조금 이색적인 취미의 일환으로 평하는 의견도 많은 듯하고 실제로 올드 렌즈를 경험해 본 사진 애호가들도 각자의 취향과 느낌에 따라 상이한 평가와 효용을 이야기하는 경우를 심심찮게 듣고 보게 된다. 디지털 카메라 시대에 올드 수동 렌즈는 어떤 의미와 효용을 가지는 것일까..
<카메라와 렌즈의 구조 X VI>핀홀 카메라 - 디지털 카메라용 핀홀 제작과 활용 / Construction of camera - Pinhole camera Notice - 얄팍한 상식 수준에서 다루는 비전문적이고 깊이 없는 포스팅이므로 숨겨져 있을 오류와 논리적 비약, 수다쟁이의 헛된 망상에 주의가 필요하다. 핀홀 카메라에 대해서는 궁금증이 있어 기회가 되면 한번 만들어 보고 싶었다. 물론 필름을 장착하는 핀홀 카메라가 특유의 정밀한 기계미와 필름이 만들어 내는 감성이 매력적이지만, 필름 사용에 대한 번거로움과 숙달되지 못한 기술 탓에 고난이 염려되어 쉬 도전하지 못했다. 그래서 비교적 단순하고 큰 어려움 없이 접할 수 있는 디지털 핀홀 카메라에 대해 자료를 찾아보고 소소한 제작에 도전해 보았다. 핀홀 카메라의 유래와 역사에 대해 간단히 정리하고 시작해 보자. ▶ 핀홀 카메라의 역사와 구조 - 카메라 옵스큐라 (Camera obscura) 암상자(暗箱子)...

"); wcs_d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