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Trivial know-how for cameras

토키나 줌 (28-70mm f2.6-2.8) 렌즈 전면 요소 내부의 곰팡이 제거 / Cleaning mold inside the front elements of the Tokina zoom lens - Tokina AT-X pro 28-70mm f/2.6-2.8 토키나 AT-X pro 28-70mm f/2.6-2.8 렌즈는 1994년에 출시되었으니 올드 렌즈라고 불러야 하나 싶다. AF 렌즈이고 디지털 카메라에서도 잘 사용되지만, 이 렌즈의 정체성은 SLR 필름 카메라를 위한 f2.8의 고정 조리개의 'AF 표준 줌 렌즈'라 하겠다. 만들어진 시기 또한 1994-1999년까지라서 최소한 20여 년이 지난 렌즈다. 이후 2000년 2002년 각각 출시했던 AT-X pro 28-80mm f/2.8이나 28-70mm f/2.8 SV 등은 비슷한 이름이고 다음 세대로 불리기도 하지만, 기본 사양에서 약간의 차이가 있고 최 근접 촬영 거리가 다르며, 비구면 요소 사용 등등 내부의 광학 구성에서 또한 차이가 있어서, (유사한 이름과 화각, 사양에도 불구하고) 동일한 렌즈의..
토키나 줌 렌즈 - 내부 유격에 따른 흔들림 수리 (니콘 D 타입 렌즈) / Tokina zoom lens (Tokina AT-X pro 28-70mm f/2.8) Repairing internal shake caused by zoom operation (Nikon D type lens) 얼마 전, 토키나 줌 렌즈(Tokina AT-x pro 28-70 f2.6-2.8)를 온라인 중고거래를 통해 구매했다. 그간 토키나 렌즈를 즐겨 사용하지 못했고 따라서 별 관심이 없었는데, 영상 촬영용으로 적합하고 튼튼한 빌드 품질의 렌즈를 찾다 보니 이 렌즈가 눈에 띄었다. 앙제뉴 광학 설계라는 소문에 궁금증이 동했던 것이 사실이고, AF가 아닌 매뉴얼 포커스로 사용할 생각이었다. 그 외에도 저렴한 가격 등 선택한 나름의 구구절절한 사연이 있지만, 그리 중요하지 않으니 생략하자. 오래된 중고 물건들의 거래, 특히 직접 거래 물건의 상태나 정상적인 작동 여부를 확인하지 않고 이루어지는 온라인 거래에서 종종 (근래에는 꽤 자주 경험하는) 물건의 하자를 판매자가 정확하게 고지하지 않는 점은 늘 불만이다. 물..
삼양(폴라) 렌즈 내부 흔들림 & 포커싱 유격 수리 / Samyang (polar) lens internal element shake & focusing gap repair - Samyang (Polar) ROKINON, BOWER 35mm f/1.4 삼양의 수동 렌즈들은 상대적으로 저렴한 가격 대비하여 광학 성능이 준수해서 좋아하고 영상 촬영에 즐겨 사용하는 렌즈다. 물론, 매뉴얼 포커스 렌즈를 즐겨 사용하는 개인적인 선호가 전제되어 있기 때문이겠지만, (근래 출시한 삼양의 AF 렌즈는 사용해 보지 못해서 AF 렌즈에 대한 감상은 없다) 삼양의 수동 렌즈 라인업은 광학 성능은 대체로 만족스러웠다. 최신의 고사양 AF 렌즈들과 비교하도 스펙이나 광학 성능 면에서 큰 차이를 없으며 (상대적으로 수동 전용으로서 가성비에 더 강점이 있다고 해야 하지 싶다) 한 세대 이전의 수동 전용 렌즈들과 비교하면, 최대 개방 조리개 등에서 유의미한 사양 차이를 보이고, 전반적인 광학 성능 (중앙과 주변부에 걸친 높은 해상력과 선예도, 최대 개방에서도 비교적 대비가 높고..
카메라 렌즈 속 먼지와 곰팡이 그리고 먼지 또는 곰팡이로 착각하는 현상 / Dust and mold in the camera lens, and phenomena that are easily misunderstood as dust or mold Notice - 얄팍한 상식 수준에서 다루는 비전문적이고 깊이 없는 포스팅이므로 숨겨져 있을 오류와 논리적 비약, 수다쟁이의 헛된 망상에 주의가 필요하다.  예전부터 카메라나 렌즈, 그리고 기타 관련 장비에 대해서 관리 방법 등에 관해서 정리해 두고 싶었는데, 저마다의 관리 노하우들이 다양하듯이 딱히 이 방법이 제일 낫다고 확신이 드는 것들이 생각보다는 별로 없었다. 사진이나 영상을 즐기다 보면 자연히 관리, 보관, 저마다의 활용 노하우가 생기니 시간이 해결해 줄 문제이기도 하다. 그리고 처음에는 열심히 관리하다가 관심이 멀어지면 한구석에 그냥 방치해 두고 잊어버리고 지내기도 해서, 사실 관리 노하우라 부르기도 민망하다. 일반 사진 애호가에게 카메라 렌즈와 관련해서 가장 큰 고민 중 하나는 광학계 내부의..
캐논 FD 마운트 - 55mm f1.2 S.S.C 무한대 보정 및 포커스 링 분해 수리 / Repair & disassembly - Canon FD 55mm f1.2 S.S.C 만들어진지 30~50년이 훌쩍 넘은 올드 렌즈들은 사람이 나이가 들어 육체적 건강이나 외모에 변화를 피할 수 없듯 아무리 정성으로 잘 관리한다 해도 그 시간만큼 어떤 흔적이라도 남기 마련이라서 경중의 차이는 있겠지만, 경미한 장애 한둘씩은 가지고 있다. 이런 장애나 조작감 등의 성능 저하는 올드 렌즈에 대한 평가나 만족도를 낮추는 가장 흔한 요인 중의 하나라고 생각한다. 특히, 광학계에 발생하는 아무리 경미한 흔적이나 결점도 결과물에 영향을 주지 않는 경우는 거의 없다고 생각한다. 다만, 이를 사용자가 어느 정도 체감하느냐의 차이만 있을 뿐이다. (대부분 '사진 결과물에는 영향을 주지 않는다'라고 말하고 이를 믿고 있겠지만,) 아주 미세한 먼지 하나라도 어떤 형태로든 영향이 없을 수 없다. 광학 기기에 ..
수동 초점 조절 (포커스 링) 조작감 저하에 대한 간단 수리 (삼양 시네-VDSLR 렌즈) / Manual focus ring repair - Samyang cine Lens 삼양 시네 24mm T1.5를 애용하는데, 포커스 조절링이 뻑뻑해지고 사용감이 나빠졌다. 매뉴얼 포커싱만 가능한 렌즈인 데다 시네마 렌즈 타입을 표방한 VDSLR 렌즈인데 꽤 신경에 거슬리고 사용하기 불편해서 간단 분해 수리에 도전했다. 삼양의 시네 VDSLR 렌즈에 대해서는 이전에 개인적 감상을 정리한 적이 있으니 링크로 대신하고, 수리 과정을 정리해보자. 2019/01/11 - [기타 카메라 & 광학 제조사] - 삼양 VDSLR 시네 렌즈 - Samyang T1.5/24mm ED AS IF UMC II Cine Lens / About Samyang Cine Lenses 삼양 VDSLR 시네 렌즈 - Samyang T1.5/24mm ED AS IF UMC II Cine Lens / About Samya..
카메라와 렌즈 그리고 관련 악세사리 고무 재질의 관리 방법 - "고무가 녹아 내린다?"/ How to keep the camera rubber part - sticky rubber on camera Notice - 얄팍한 상식 수준에서 다루는 비전문적이고 깊이 없는 포스팅이므로 숨겨져 있을 오류와 논리적 비약, 수다쟁이의 헛된 망상에 주의가 필요하다. 즐겨 찾는 사진 관련 커뮤니티(회원들의 게시글을 읽는 것 외에 다른 적극적 활동은 거의 없는 소심한 유령회원에 불과하다)에 질문 글에 답글을 달면서 좀 더 내용을 보충해서 수다 주제로 삼으면 좋을 듯해서 슬쩍 당겨왔다. 구체적인 질문은 해당 질문을 주신 분에게 저작권?이 있을 테니 대충 질문의 요지만 정리하고 그 질문에 달았던 답변 내용에 좀 더 살을 붙여서 수다로 다뤄보자. Q : 카메라 등에 먼지유입 방지나 방수 등을 위한 '고무 재질' 부분의 백화나 경화 현상의 원인과 관리 방법은? A : 평소에 고무로 만들었다고 생각하는 것 중 대부분은 플라스..
<우당탕탕 수리 24> LM-E AF 어댑터(포토디옥스 프로 프론트) 수리 / Fotodiox pro Pronto adapter repair (Techart LM-EA7) 날씨가 추워지면 몸이 움츠려 들고 건강에 문제가 생겨 따듯한 계절만큼 왕성한 활동을 보이지 못하는 것처럼 카메라와 관련된 기계 장치에도 추운 날씨는 고장이나 불완전한 작동 상황이 종종 발생한다. 개인적인 경험으로는 기계 장치에서는 부드러운 작동을 위해 사용하는 윤활유 등이 겨울의 건조하고 낮은 기온 탓에 굳어서 정상적인 작동에 방해를 받는 경우가 많았던 것 같다. 이런 류의 고장은 따듯한 곳에서 좀 방치하면 슬그머니 정상으로 돌아와서 다행으로 여겨지기도 하지만, 추운 날씨에는 제대로 작동하지 않는 등의 사용 제약이 그리 달가울 리 없다. LM-E AF 어댑터는 일전에 수다 대상으로 삼기도 했던 독특함과 올드 수동 렌즈를 디지털카메라의 AF 기능과 함께 사용할 수 있도록 이어주는 제법 유용한 장치여서 평소..

"); wcs_d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