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rivial know-how for cameras 썸네일형 리스트형 <우당탕탕 수리 23> 캐논 데미 C (하프 프레임 카메라) 셀렌 노출계 및 커플러(연동) 장치 수리 / Canon demi C- 50mm f2.8 repair 캐논 데미 C의 귀엽고 깜찍함에 Canon demi ee17, Canon demi S, Canon demi EE28을 구매해서 가지고 있었는데, 이제는 효용이 다하여 잘 찾지 않는 필름 카메라를 잉여스러운 수집용으로 하나씩 모았다. 이번엔 수리할 Canon demi C는 하프 프레임 필름 카메라에서는 특이한(거의 유일하지 싶다) 렌즈 교환이 가능하다.Canon demi C의 사양과 특징에 대해서는 이전 수다 링크로 대신하는 것이 좋겠다.2017/01/06 - [Canon & Nikon/Canon demi (Half-frame camera)] - 캐논 하프 프레임 카메라 (데미 시리즈)/ Canon demi half-frame camera (demi, S, C, Rapid, EE17, EE28) 캐논 하.. <우당탕탕 수리 22> 렌즈 내부 산란(플레어) 방지 흑칠과 겨울 나기 준비 겨울맞이 아니 월동을 위해, 카메라와 렌즈 등을 정리하다가 오래전에 개조했던 Canon SH 30mm f1.7 렌즈를 구석 상자에서 발견했다. 개조할 때는 하프 프레임 필름 카메라의 렌즈 화각과 APS-C 규격 이미지 센서의 디지털카메라와 궁합이 잘 맞을 듯해서 꽤 공들여 만들었는데 막상 실 사용에서는 플레어가 거슬렸었다. 지금 보니 개조할 당시 내부의 황동 재질의 헬리코이드 부분의 깔끔해 보여 그냥 두었는데 그 부분에서 렌즈를 통과한 빛이 산란되어 플레어가 심했던 것이 아닐까 하는 생각이 문득 들었다. 실제 헬리코이드가 맞물리는 부분과는 상관 없고 초점 이동에는 전혀 문제가 없어 보여서 무광의 흑색 페인트를 붓으로 도색했다. 정성과 집중력 부족 탓에 도색 면이 고르지는 않지만, 페인트가 채 마르기도 전.. 셀렌 광전지(셀레늄 셀) 방식 노출(광도)계와 카메라의 관리와 보관 방법 / How to manage Selenium photocell light-meter and camera. Notice - 얄팍한 상식 수준에서 다루는 비전문적이고 깊이 없는 포스팅이므로 숨겨져 있을 오류와 논리적 비약, 수다쟁이의 헛된 망상에 주의가 필요하다. 셀레광전지의 역사는 꽤 길다. 처음 등장한 시기는 지금으로부터 약 150년 전이고 셀렌의 광기전력 현상의 이론적 토대가 발견된 것은 더 오래전이다. 흔히 '태양전지'로 불리는 대표적인 방식으로 전류를 만드는 전지 역할뿐만 아니라 빛의 강도에 따라 발생하는 전류량의 차이를 검류계로 계측하는 방식의 광도계/노출계로 만들어졌으며, 보다 향상된 성능의 실리콘 광전지로 대체되기 전까지 많은 휴대용 소형 제품에 응용되었다. ▶ 셀렌 광전지 / Selenium Cell 셀렌의 광전효과를 활용한 광전지. 철 또는 알루미늄으로 된 기관 표면에 셀렌을 증착하고 열가공하.. <우당탕탕 수리 21> 캐논 세레나 35mm f2.8 (M39, LTM) 분해 및 수리 / Canon serenar 35mm f2.8 repair & CLA 빈티지 렌즈들은 적절한 보관과 적절한 관리가 필요하다. 카메라나 렌즈 일련의 수리나 점검 과정을 보통 CLA(청소하고 기름치고 조정 - Clean, Lubricate, Adjust)라고 부른다. '청소'는 먼지나 포그, 곰팡이 등을 제거하는 작업이고, 조작을 위한 구동 부분에 적절한 윤활유를 보충하고 기계 작동의 정확한 작동을 담보하기 위한 '조정'이 필요하다. 캐논의 Serenar 렌즈들은 50년대 초/중반에 제작되어 60년이 훌쩍 지나있지만 황동 재질의 내구성, 그리고 만듦새가 나쁘지 않고 수동 전용 렌즈의 구조도 간결하다. 그럼에도 오랜 세월을 거치며 침착된 때를 제거하는 과정과 적절한 수리는 필요하다. 광학계는 비교적 깨끗한 편이지만 내부의 일부 먼지가 눈에 거슬리고 조리개 날의 일부에 살짝 비.. <우당탕탕 수리 X X> 주피터 3 - Jupiter 3 50mm f/1.5 - 조리개 조작부 분해 청소 및 무한대 포커싱 보정 어제 주피터 헬리코이드 부분을 청소했으니 오늘은 조리개 부분을 청소해 보자. 주피터는 간편하게 두 부분 즉, 광학계와 헬리코이드 부분으로 간단히 분리되어서 원하는 부분을 선택해서 시간 날 때마다 조금씩 청소/수리할 수 있어서 편하다. 조리개 관련 장치는 광학계 부분에 속해 있고 조리개 조절 링은 렌즈 앞부분에 위치하고 있다. 분리하는 방법은 렌즈의 전면 조리개 부분과 아래 경통 부분을 일반적인 나사 분리 방향으로 회전시켜 간단히 분리할 수 있다. 러시안 렌즈에 흔한 전면 조리개 조작 링 위치는 작은 RF 카메라 교환용 렌즈에 많이 보이는데, 렌즈의 작은 크기로 경통 측면에는 수동 포커스 조작부가 차지하고 불가피하게 렌즈 전면이나 경통의 가장 앞부분에 조리개 조작부가 위치한다. 일반적인 SLR 교환용 렌즈.. <우당탕탕 수리 X IX> 주피터 3 - Jupiter 3 50mm f/1.5 - 헬리코이드 분해 청소 및 윤활유-그리스- 교환 필름 카메라로 다시 사진을 찍어 보기로 마음먹은 후, RF 카메라 몇 대를 새로 장만하고, 50여 년이 지난 카메라를 적절한 상태로 돌려놓기 위해 분해 청소를 하느라 몇 일을 훌쩍 보냈다. 카메라는 큰 망설임 없이 기본적인 성능과 취향으로 canon 7 등으로 쉽게 결정했고, 국내에서는 매물을 찾기 어려워 이베이에서 쓸만한 녀석으로 구매를 했는데, 여기에 물릴 렌즈는 고민이 좀 되었다. LTM 렌즈들이 은근히 선택의 폭이 넓지 못한데, 라이카는 두터운 마니아 층과 수집 애호가들 덕에 가성비를 따지기 어려운 지경이고 허술한 사진 실력에 호사스러운 선택이라 제외했다. 그리고 캐논 RF 카메라의 제짝이라고 할 수 있는 canon LTM 렌즈들도 흔한 SLR 교환용 렌즈들에 비하면 가격도 높고 매물도 꽤 적은 .. 캐논 7 - 레인지파인더 (이중상 합치) 오차 보정 / Canon 7 - Rangefider alignment(calibration) Notice - 얄팍한 상식 수준에서 다루는 비전문적이고 깊이 없는 포스팅이므로 숨겨져 있을 오류와 논리적 비약, 수다쟁이의 헛된 망상에 주의가 필요하다. 다시 필름 사진에 흥미가 동하여 이것저것 다시 챙기는 중이다. 특별하게 취향이 정해져 있는 편이 아니라서 카메라 종류 등을 가리지 않는 편인데 근래에는 수동 레인지파인더 카메라가 유독 정감이 간다. 올드 카메라의 수동 조작을 좋아하지만, 일단 사진 촬영의 가장 첫 단계인 쾌적한 파인더 시야를 선호하는 탓에 너무 오래된 RF 카메라의 파인더 시야는 어둡고 답답해서 불편하다. 올드 수동 RF 카메라 중에서 고정 배율로 넓은 시야와 밝은 파인더 시야와 프레임 라인을 통해서 시차 보정 기능이 있는 카메라를 구하고 싶었고, Canon 7을 장만하고 요리조리 .. <우당탕탕 수리 X VIII> 필름 SLR 카메라 노출계 수리 - 니콘 EM / Repair of Exposure meter - Nikon EM Notice - 얄팍한 상식 수준에서 다루는 비전문적이고 깊이 없는 포스팅이므로 숨겨져 있을 오류와 논리적 비약, 수다쟁이의 헛된 망상에 주의가 필요하다. 노출계 작동이 오락가락하는 상태로 몇 번 촬영한 사진을 날려먹고 실사용 기기에서 물러나 장식 겸 소장용으로 작년 요맘때 즈음 선물되었던 니콘 EM 수리에 도전해 보았다. 그간 카메라의 구조나 작동 방식에 대해서 틈나는 대로 연구를 했었고, 카메라를 수리할 때는 사전에 관련 정보를 찾아보고, 분해 등에 여유를 가지고 차근차근 접근하고, 그리고 주의 깊게 작동/구동 방식을 생각하며 꼼꼼히 살피면 생각했던 것보다 고장 부위를 찾거나 수리하는 것이 어렵지 않다는 것을 경험으로 알게 되었다. 그런 까닭에 노출계가 때때로 되다가 안되다가를 반복하다가 점점 안 되.. 이전 1 2 3 4 5 6 7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