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분류 전체보기

<빈티지 렌즈와 디지털카메라의 이종결합 V> 이미지 센서의 크기에 따른 장단점 / Using vintage lenses on digital cameras - Image sensor 이미지 센서(Image Sensor Or Imaging sensor)는 “피사체 정보를 검지하여 전기적인 영상신호로 변환하는 장치 또는 전자부품”을 지칭하며 익히 디지털 영상기기에서는 필수 핵심 부품 중의 하나이다. 전문적인 지식으로 센서의 원리에 대해 설명하면 좋겠지만 알고 있는 지식도 부족하고 이에 대해 전문적이고 체계적으로 정리된 정보들이 많으므로 이는 각자 검색을 통해 알아보자. 그간 다른 포스팅에서 35mm 필름 평판의 풀프레임(FF)나 APS-C 규격 등에 대해 두서없이 했던 내용의 정리 보충 차원에서 일반적인 디지털카메라의 이미지 센서의 규격과 이에 따른 장담점에 대해 간략히 정리해 보자. ​ ★ 이미지 센서 - CMOS 최근의 디지털카메라에서 이미지 센서는 CMOS(시모스, 상보성 금속 산..
올림푸스 F.주이코 Auto-s 38mm f1.8 - Olympus F.Zuiko Auto-s 38mm f1.8 Notice - 얄팍한 상식 수준에서 다루는 비전문적이고 깊이 없는 포스팅이므로 숨겨져 있을 오류와 논리적 비약, 수다쟁이의 헛된 망상에 주의가 필요하다. Olympus F.Zuiko Auto-s 38mm f1.8 렌즈는 근래 이종교배용 렌즈로 애용되고 있는 렌즈 중의 하나이다. 무엇보다 Olympus Pen F 마운트 규격의 하프 프레임 포맷 렌즈라는 점과 38mm의 초점거리가 무엇보다 눈에 띈다. Pen F 마운트와 하프 카메라의 특징에 대하여는 별도로 포스팅한 바 있으므로 아래 링크로 대신한다. 2016/09/07 - [Old Lens mount type] - 올림푸스 펜 F 마운트 / PEN F mount (Olympus Pen F/FT/FV) 올림푸스 펜 F 마운트 / PEN F mount (O..
올림푸스 펜 F 마운트 / PEN F mount (Olympus Pen F/FT/FV) Notice - 얄팍한 상식 수준에서 다루는 비전문적이고 깊이 없는 포스팅이므로 숨겨져 있을 오류와 논리적 비약, 수다쟁이의 헛된 망상에 주의가 필요하다. Olympus Pen F(FT/FV) 카메라는 35mm 필름 평판 일안 리플렉스 (SLR) 카메라로 특이하게 하프 프레임 카메라이다. 1963년 출시부터 최초의 하프 프레임 SLR 카메라로 아주 작은 크기와 혁신적인 구조로 많은 주목을 받았다. 펜타 프리즘의 일반적인 SLR 카메라와 달리 '포로 프리즘'(porro prism) 방식을 적용하여 카메라 내부에 장착하였고, 미러 또한 가로로 누운 형태로 장착되었다. 이러한 구조적 특징 탓에 렌즈 마운트는 카메라의 한쪽으로 치우쳐 있는 외형을 가진다. 셔터 방식 또한 '회전식 티타늄 셔터'(Focal Pla..
주피터 Jupiter-8 5cm f2 'П' (Step. 2) 주피터 Jupiter-8 5cm f2 'П'은 흑백 필름 시대의 렌즈다. 흑백에서의 묘사력은 디지털 카메라에서도 합이 좋아 보인다. 개인적으로는 특색 있는 진득하며 차분한 칼라 색감도 마음에 든다. 요즘 마운트 캡처럼 항상 카메라에 물려두고 있는데, APS-C 카메라와 콘탁스 RF 마운트 규격인 탓에 준망원 화각으로 사용하는 점이 못내 아쉽다. 본래 설계 시에 의도된 표준 렌즈의 범용성을 살리지 못하니 용도가 한정적이고 범용으로 사용하기에는 조금 답답한 느낌이다. 물론 반대로 얻는 것도 있는데 상반식 인물 사진과 소소한 소품의 정물 사진에서는 만족스럽다.
DKL 마운트-DKL/DECKEL mount (Kodak Retina Reflex) Notice - 얄팍한 상식 수준에서 다루는 비전문적이고 깊이 없는 포스팅이므로 숨겨져 있을 오류와 논리적 비약, 수다쟁이의 헛된 망상에 주의가 필요하다. DKL 마운트는 코닥의 레티나 카메라 중 SLR 교환용 카메라와 렌즈에 적용된 마운트 방식으로 일반적으로 쉽게 접할 수 있는 마운트는 아니다. 이 규격이 적용된 카메라는 Kodak Retina Reflex(S, III, IV) 등으로 1959년부터 1967년에 걸쳐 제조/생산되었다. 코닥 필름으로 우리에게 익히 친숙한 코닥(Eastman Kodak company)에 대해 간단히 알아보면 다음과 같다. 회사명을 줄여서 코닥이라고 한다. 1880년 이전만 하더라도 사진의 인화지를 뽑기 위해서는 그때마다 축축한 화학물질을 플레이트 위에 코팅시켜야 하였다. ..
레티나 C형 마운트 - Kodak Retina C Type mount (Retina IIC/c, IIIC/c) Notice - 얄팍한 상식 수준에서 다루는 비전문적이고 깊이 없는 포스팅이므로 숨겨져 있을 오류와 논리적 비약, 수다쟁이의 헛된 망상에 주의가 필요하다. 코닥의 35mm 필름 카메라 레티나 카메라에 적용된 마운트 방식은 DKL 마운트와 레티나 C 형 마운트가 있는데 이번 수다에서는 Retina C 타입 마운트에 대해 알아보자. 이 마운트는 매우 독특한 방식(보조 렌즈-Supplementary lens)을 취하고 있다. 먼저 적용된 카메라는 RF 카메라 유형의 코닥 레티나 IIC, IIc, IIIC, IIIc (C와 c의 구분은 뷰파인더의 크기에서 차이가 있으며 흔히 대창과 소창으로 불리기도 한다)이다. 교환용 렌즈 방식을 취하고 있으나 익히 알고있는 일반적인 방식과는 차이를 보인다. 렌즈 전면부의 일부..
오토 타쿠마 35mm f3.5 - Auto Takumar 35mm f3.5 (Step.1) 35mm 화각의 수동 렌즈로 조리개만 조여주면 스냅 촬영에 효과적이다. 조금 감성적인 장면을 원한다면 조리개를 열고 얕은 심도의 연출도 어느 정도 가능하다. 하지만 최대 개방 조리개 f3.5와 구경의 한계 탓에 커다란 빛망울(보케)을 기대하기엔 무리다. 그간 무더웠던 날들과는 사뭇다른 하루였다. 서늘한 바람이 불었고 하늘은 푸르고 높다. 모처럼 버스를 탔고 스치는 창밖의 풍경을 즐겼다. 운전을 하고 있을 때는 창밖의 풍경조차 제대로 즐길 여유를 갖지 못하니 역시 없는 것이 자유롭다. 중간에 신도림에서 지하철 환승과 친구를 만나기 위해 기다리는 동안 신도림 디큐브 앞 광장에서 몇 장의 사진을 담았다. 햇살은 어제와 다름없는데 얼굴에 닿는 공기는 여름과 가을만큼이나 다르다. 일전 벚꽃이 한창 폈던 봄에 예술..
<빈티지 렌즈와 디지털카메라의 이종 마운트 교차 사용 IV> 이종 마운트 교차용 어댑터의 선택 / Using vintage lenses on digital cameras - mount adapter Notice - 상식 수준에서 다루는 비전문적이고 깊이 없는 포스팅이므로 숨겨져 있을 오류와 논리적 비약, 수다쟁이의 헛된 망상에 주의가 필요하다. 이종교배를 위해서는 이종의 요소 즉, 다른 규격 마운트의 카메라 본체와 렌즈를 서로 연결시켜주는 장치가 필수 적이다. 각각의 여러 카메라와 렌즈들은 제조사, 또는 동일한 제조사라 하여도 기술적 개선 등으로 변경되어 제 각각의 마운트 규격을 가지고 있다. 따라서 제조사가 다르거나 시기별, 기술/설계상의 이유로 각기 다른 마운트를 물리적으로 연결시켜주는 장치가 필요하다. 이 장치를 우리는 통상 이종교배용 어댑터로 부른다. 이종교배 어댑터는 각자 다른 방식의 마운트를 연결시켜주는 역할과 각각의 설계 규격에 따른 상이한 플랜지 백 거리(flange back dist..

"); wcs_d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