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ameras of the world 썸네일형 리스트형 캐논 세레나 100mm f4 / Canon Serenar 100mm f4 Notice - 얄팍한 상식 수준에서 다루는 비전문적이고 깊이 없는 포스팅이므로 숨겨져 있을 오류와 논리적 비약, 수다쟁이의 헛된 망상에 주의가 필요하다. 세레나 35mm f/2.8을 해외 직구하면서 엉겁결에 같이 구매하게 된 Canon Serenar 100mm f/4를 수다의 대상으로 삼아 보자. 굳이 충동구매의 변을 들자면 캐논에서 Triplet 광학식을 기반으로 만든 렌즈는 어떨까 하는 궁금증이 한몫을 했다. 1946년을 기점으로 50mm f/3.5와 이듬해 50mm f/2를 출시하며 35mm RF 카메라 제조사(초창기의 캐논은 니콘의 전신인 '일본광학공업' 등에서 제조된 렌즈를 장착하였다)에서 카메라와 광학 제조사로 거듭나던 무렵인 1948년, 캐논은 세레나 85mm f/2와 100mm f/4, .. 캐논 세레나 35mm f2.8 / Canon serenar 35mm f/2.8 Notice - 얄팍한 상식 수준에서 다루는 비전문적이고 깊이 없는 포스팅이므로 숨겨져 있을 오류와 논리적 비약, 수다쟁이의 헛된 망상에 주의가 필요하다. 35mm와 50mm 초점거리 렌즈가 만드는 화각은 35mm 필름 포맷의 카메라에서는 만능으로 불려질 정도로 쓰임이 많다. 특히, 스냅 촬영 등에 효율적인 RF 카메라의 장점에 잘 부합하는 초점거리라 생각한다. 빈티지 M39 마우트(LTM) 렌즈에서 표준 초점거리 렌즈는 종류도 많고 다양해서 선택의 폭이 넓지만, 35mm 이상의 광각 렌즈는 꽤 제한적이다. 레인지파인더 카메라의 교환용 광각 렌즈로는 명성이 자자한 홀로곤이나 토포곤, 비오곤 렌즈가 넓은 화각에서 좋은 선택일 수 있지만 빈티지 렌즈에서 광각 렌즈는 꽤 희소성이 있고, 따라서 쉽게 접근하기 .. <필름 스캔> 테사 광학식의 색재현력 문제 / Industar-61, Canon 7, Kodak colorplus 200 올드 렌즈, 그중에서도 흑백 필름 시대에 설계/제작된 렌즈들은 칼라 필름과 함께 사용할 경우, 색 재현력 문제가 있는 경우가 종종 보인다. 물론 색수차 보정으로 인한 색 재현력의 균형 문제에 있어 우수한 광학적 성능으로 아무런 문제를 없는 올드 렌즈도 다수 있지만, 쿠크 삼중 렌즈를 기반으로 한 렌즈들, 특히 가장 흔하게 접할 수 있는 보급형의 테사 타입의 렌즈에서 그 예를 체감하는 경우가 꽤 있다. 따라서 개인적으로 칼라 사진에서 테사나 엘마 렌즈가 잘 어울리지 않는다고 생각한다. 사진의 색 재현력 문제는 촬상소자(필름이나 디지털 이미지 센서)의 요인이나 렌즈의 광학계, 화이트 밸런스 등 여러 요소가 작용하지만, 인더스타 등의 렌즈에서는 광학계 자체의 색수차 억제/보정이나 코팅에서의 색채의 균형적 구현.. 캐논 데미 S, 후지칼라 C200 / Canon demi S, FUJICOLOR C200 케논 데미 S는 하프 프레임 카메라이지만 30mm f/1.7 (렌즈의 실 초점거리는 30mm이지만 촬상면이 '하프 프레임 규격' 이므로 실제 렌즈의 환산 화각은 35mm 프레임 규격 기준으로 약 45mm 초점거리(50˚)에 해당한다)의 비교적 밝은 렌즈를 장착하고 있고, 셔터 스피드와 조리개 설정을 메뉴얼 모드로 조작하여야 한다. 휴대성이나 간편한 촬영 컨셉으로 만들어진 카메라들은 일반적으로 촬영 편의를 위해 자동 기능(자동 측광에 의한 poing & shot 방식)에 중점을 두는데 60년대 초반에 등장한 이 하프 프레임 카메라는 Auto와는 거리가 멀다. 즉, 자동 측광에 의한 조리개 우선 촬영 방식 등의 단순한 자동 기능 조차 없다. 따라서 메뉴얼 모드 촬영에 익숙하지 않은 사용자에게는 불편한? 컴팩.. Canon 7(캐논 레인지파인더 카메라) & Jupiter-3 50mm f/1.5 - Kodak colorplus 200 Jupiter-3이나 Carl Zeiss의 Sonnar 설계의 가장 큰 장점은 균형 있는 색 재현력이라 생각한다. 이는 여타 렌즈와 비교해, 필름 카메라에 장착했을 때도 도드라져 보이는 장점인데, 비슷한 시기에 제작되었던 타 광학식의 올드 렌즈들의 일부 제한적인 색 재현력에 비하면 sonnar의 색 재현력과 묘사력은 발군이다.(색 재현력을 결정하는 요소는 해상력에 따른 채도 증가와 색수차를 억제하여 색 파장 스팩트럼의 균형적인 결상이 담보되어야 한다. 보다 자세한 자세한 내용은 아래 링크를 통해 확인할 수 있다) 최근에 설계된 렌즈의 성능과 비교해도 결코 뒤처지거나 나빠 보이지 않는다. 물론 분해능이나 최대 개방에서의 광학적 성능에서는 차이가 있을 수 있지만, 35mm 필름에서 기대할 수 있는 해상력은 .. 캐논 레인지파인더 회심의 역작 - Canon VT & Canon VI (T/L) Notice - 얄팍한 상식 수준에서 다루는 비전문적이고 깊이 없는 포스팅이므로 숨겨져 있을 오류와 논리적 비약, 수다쟁이의 헛된 망상에 주의가 필요하다. 라이카 M3의 출시는 당시의 RF 카메라 경쟁 제조사들에게는 충격이었고 새로운 활로를 모색하게 하는 시련이었지만, 한편으로는 선행기술의 좋은 표본인 동시에 따라잡기 위한 도전 과제이자 기존의 고리타분한 답습을 타파하는 새로운 시도를 가능케 한 자극으로 작용했었던 것 같다. 캐논은 라이카 바르낙을 복제한 제품들을 만들면서 축적된 RF 카메라 설계/제조 기술을 바탕으로 M3에서 받은 기술적 충격을 캐논만의 고유한 방식으로 RF 카메라에 적용하였는데, 빠르고 독창적인 캐논의 기술적 대처는 막연히 '카피 캣'으로 평하기에는 신선하고 기계적 성능, 완성도에서도.. 캐논 P - 최고급기를 넘어서는 보급기의 인기 /Canon P (populaire) Notice - 얄팍한 상식 수준에서 다루는 비전문적이고 깊이 없는 포스팅이므로 숨겨져 있을 오류와 논리적 비약, 수다쟁이의 헛된 망상에 주의가 필요하다. 근래 렌즈보다는 카메라에 대한 수다가 부쩍 늘었는데, 이유를 곰곰이 생각해보니 다시 시작한 필름 사진 때문이 아닌가 싶다. 편하고 쉽게 접할 수 있는 디지털 이미징 기술의 범람이 편리함의 역설적인 피로로 작용한 것인지, 과거에 대한 막연한 향수 탓인지 필름 카메라로 만드는 사진의 신중함과 수고스러움이 간혹 그립다.5월 초는 원래 휴일이 많은 편인데 부처님 오신 날과 장미 대선 선거일까지 징검다리로 휴일이 있어 마음이 무척 여유롭다. 따스한 봄 햇살에 사진 찍으러 나갈까를 몇 번 고심했지만, 마땅히 혼자 카메라를 들고 배회할 만한 곳을 찾지 못했다. 아.. 용산 국립 중앙 박물관 - Carl Zeiss jena sonnar 5cm f/2 (STEP.3) 이전 1 ··· 3 4 5 6 7 8 9 ··· 14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