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 전체보기 썸네일형 리스트형 <카메라와 렌즈의 구조 36> 초점 호흡 (포커스 브리딩)에 대하여 / About focus breathing Notice - 얄팍한 상식 수준에서 다루는 비전문적이고 깊이 없는 포스팅이므로 숨겨져 있을 오류와 논리적 비약, 수다쟁이의 헛된 망상에 주의가 필요하다. 일반적인 상황에서는 거의 잘 언급되지 않는, 그래서 용어도 생소한 '초점 호흡/포커스 브리딩(focus breathing)'에 대해 수다의 주제로 삼아보자. 사실 스틸 이미지에서는 그리 문제 되지 않았고(그 이유에 대해서는 아래에서 다루자) '초점 호흡이라는 현상이 있다' 정도로만 언급하는 것으로 충분했지만, 동영상 촬영이나 시네마 관련 전문 촬영에서는 광학계/렌즈의 초점 호흡의 영향이 초점(포커스) 이동에 있어 시각적으로 유의미하게 드러나게 되므로 종종 언급되며, 최근 SNS 활동으로 일반의 영상 촬영에 관심이 커졌으니 이번 기회에 한번 다루는 것도.. 전자 선막 셔터의 고속 셔터 스피드에서의 문제 / Electronic front curtain shutter at fast shutter speeds Notice - 얄팍한 상식 수준에서 다루는 비전문적이고 깊이 없는 포스팅이므로 숨겨져 있을 오류와 논리적 비약, 수다쟁이의 헛된 망상에 주의가 필요하다. 디지털카메라의 이미지 센서와 셔터에 대해서 다루면서 간략히 언급한 부분이지만, 개인적으로 꽤 흥미를 끄는 부분이어서 별도의 수다 주제로 가져왔다. 그리 일반적이지 않은 제한적인 조건에서 발생하는 문제이므로 괜히 골치 아프게 고민할 이유는 없어 보인다. 그냥 이런 일도 있구나 하는 가벼운 수다거리 정도로 생각하는 것이 좋지 싶다.전자 선막 셔터의 작동 방식과 특징에 대해서는 이전 수다 링크를 확인하는 것이 좋겠다.2017/12/19 - [사진과 카메라 이야기/Camera & Lens Structure] - 디지털 이미지 센서의 구조 II - 전자 셔터.. 매트 박스 차양 보드 만들기 '플레어 방지를 위한 몸부림' / How to make Matte box Sunshade board 매트 박스를 종종 사용하는데, 대부분 동화상 촬영/녹화 시에 사용한다. 사용 이유는 올드 수동 단렌즈를 좋아하고 제법 가지고 있는 편이라 영상에서도 이를 자주 활용하는데 올드 수동 렌즈들은 멀티 코팅이 적용되지 않아서 단일 코팅면이 플레어에 몹시 취약하기 때문이다. 그리고 광각 렌즈일수록 더 화려하고 아방가르드?한 아티팩트(Artifact)를 확인할 수 있다. 물론 매트 박스에 부착된 ND 필터를 활용할 목적도 있다. 사실 화려한 아티팩트는 그리 싫지 않지만, 글로우 효과로 인한 화질 저하가 두려울 뿐이다. 아무래도 매트 박스는 부피가 꽤 크고 rig에 카메라와 함께 매트 박스까지 결합하면 부담스러운 무게와 부피가 된다. 그리고 매트 박스의 챠양 브래이드(Matte box sunshade blade/차양.. 디지털 이미지 센서(CMOS) 젤로 효과(현상)의 발생 원인과 대응법 / Jello effect cause and solution Notice - 얄팍한 상식 수준에서 다루는 비전문적이고 깊이 없는 포스팅이므로 숨겨져 있을 오류와 논리적 비약, 수다쟁이의 헛된 망상에 주의가 필요하다. 디지털카메라의 이미지 센서에 대한 주제의 마지막은 롤링 셔터의 단점으로 칭해지는 젤로 효과 그리고 원인은 조금 다르지만, 종종 자주 언급되는 플리커에 대해서 연속해서 다룰 생각이었는데 꽤 늦어졌다. 수다에서 다룰 주요 내용은 뻔했지만, 이를 시각적으로 확인할 수 있는 예제나 샘플 이미지를 준비하고 싶어서 계속 미루고 있었다. 야외에서 빠르게 달리는 것을 대상으로 하고 싶었으나 역시 날씨는 추웠고 게으름을 이길 수 없었다. 실내에서 대충 만든 샘플 이미지로 수다를 시작해 보자. ▶ 젤로 효과의 원인젤로 효과/현상(Jello effect)의 원인은.. 로그 픽처 프로파일(Log PP)의 이해 그리고 F-log에 대하여 / Understanding Log Picture Profiles (Fujifilm F-log) Notice - 얄팍한 상식 수준에서 다루는 비전문적이고 깊이 없는 포스팅이므로 숨겨져 있을 오류와 논리적 비약, 수다쟁이의 헛된 망상에 주의가 필요하다. 소통하기 위해 만든 블로그라서 읽는 사람들의 관심사가 무엇인지 궁금하고 재미있을 수다거리를 찾아서 종종 인터넷 커뮤니티 질문 게시판을 종종 어슬렁거린다. 그 중에 관심이 동하는 주제를 찾으면 답글을 달기도 하는데, 최근 후지필름에서도 F-log를 선보였고 이에 관한 질문이 보여서 냉큼 '설명충'?이 되기로 했다. 잘 정리되지 않아 장문의 댓글이 되어 버렸지만, F-log에 대한 설명이 웹에 많지 않으니 정리해 보는 것도 좋지 싶다. 일단 질문과 답글을 ctrl + V 하고 이후 살을 붙여서 보완 설명하며 수다를 이어가 보자. f-log가 정확히 어떤 .. 버스는 어디로 가는 걸까 / 2018. 1월 나이 들면서 부쩍 소심해져서 추운 날씨를 핑계대며 년말과 년초를 전후해서 어디로도 나다니질 않았다. 지난 해를 보내는 아쉬움이나 새해를 맞는 감흥도 예전 같지 않으니 나이드는 것이 이런 것인가 생각하면 서글프다. 연말 연시에 서리 맞은 낙엽처럼 축 늘어져버린 스스로의 못난 모습이 못마땅해서 며칠 심술과 투정의 날을 보냈고, 년말에는 밀린 숙제라도 하는 심정으로 블로그에 장황하게 수다를 풀어놓고 있었다. 꼴이 이러니 글이 잘 써질리도 없었고 준비없이 맞은 갑작스런 부지런에 정신만 사나웠다. 읽을려고 잘 보이는 곳에 던져둔 책 (필름 색감과 디지털 색감의 차이를 감상이 아닌 지식으로 풀어놓은 정보를 찾고 있었는데) '디지털 시네마를 위한 컬러와 마스터링'은 색에 대한 지식을 수학적으로 설명하고 있는 탓에 이.. 카메라 해상력-분해능에 대한 고찰 II - 해상력 저하의 원인 / About camera resolution - Causes of resolution degradation Notice - 얄팍한 상식 수준에서 다루는 비전문적이고 깊이 없는 포스팅이므로 숨겨져 있을 오류와 논리적 비약, 수다쟁이의 헛된 망상에 주의가 필요하다. 일전에 렌즈의 해상력에 대해서 다룬 바 있었는데 벌써 1년도 훨씬 전의 일이 되었다. 이전 수다에서는 고해상력의 카메라 등장에 맞춰 렌즈 즉, 카메라 광학계의 해상력에 국한하여 주제로 삼았다. 해상력 저하의 원인은 광학계(렌즈)에만 있는 것은 아니니 광학계를 제외한 다룬 부분과 해상력 관련에 대해 다루는 것도 좋을 듯하다. 최근에 고해상력에 대한 신제품 홍보나 마케팅, 그리고 이에 동조한 각종 뉴스나 감상을 보면 해상력 또는 해상도에 관한 부분만을 너무 강조하는 것에 못마땅하고 의아한 경우가 종종 있었는데, 이미지 화질이나 품질은 단지 해상력에 의해서.. <카메라와 렌즈의 구조 35> 사진과 영상의 가로 세로 비율(종횡비)에 대하여 / About image aspect ratio Notice - 얄팍한 상식 수준에서 다루는 비전문적이고 깊이 없는 포스팅이므로 숨겨져 있을 오류와 논리적 비약, 수다쟁이의 헛된 망상에 주의가 필요하다. 그동안 재미없는 주제를 다뤘으니 이번에는 좀 엉뚱한 주제로 이야기를 해보자. 물론 카메라와 관련된 이야기이고 생각해 보니 그리 엉뚱하지는 않을지도 모르겠다. 우리가 즐겨 찍는 사진이나 영상 등에는 각자의 고유한 이미지 비율 즉, 종횡비를 가지고 있다. 카메라 이미지 센서의 비율이나 인화된 사진의 비율 그리고 텔레비전 화면의 비율, 컴퓨터 모니터의 비율, 영화관 스크린의 비율 등등 이 많고 다양한 화상, 화면의 비율은 어디에서 비롯된 것일까? 그 비율에는 은밀한 수학적인 비밀이라도 숨어 있는 것일까? ▶ 필름 시대의 화상의 비율 (종횡비) / Aspec.. 이전 1 ··· 47 48 49 50 51 52 53 ··· 88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