손아귀에 힘(악력)이 떨어진 탓인지 근래 손에 든 물건을 떨구는 일이 잦다. 몇 주 전 Voigtlander Super Wide Heliar 15mm f4.5를 물린 카메라가 바닥에 떨어져 렌즈 캡이 한쪽이 찌그러지고 렌즈 외관에 별 이상은 없고 포커스 링이 근거리 포커싱에 문제없지만, 2m에서 무한대 영역까지 잘 돌아가지 않는다. 낙하 충격으로 내부 포커스 링 작동 부위에 문제가 있는 듯하다. Voigtlander Super Wide Heliar 15mm f4.5 L39 마운트 렌즈인데 MF 전용이고 어느덧 출시 20여 년이 훌쩍 지난 렌즈다. 이 렌즈에 대한 특징과 잡다한 감상은 이전 포스팅 링크로 대신하고, 간단한 분해 + 수리 과정에서 참고용 이미지와 함께 사소한 감상을 정리했다.
내부 구조는 매우 간결하다. 15mm 초점거리의 초광각으로 RF 카메라 뷰파인더 시야범위를 한참 초과하고 초광각의 깊은 심도의 이유 등으로 렌즈와 거리계 연동 커플러가 생략되었다. 따라서 경박 단소의 작은 매뉴얼 포커스 전용이고 내부 구조도 단순한 편이다. 외부는 조리개 링+포커스링 + 헬리코이드 부분, 내부는 광학계 전면부와 조리개 모듈부 그리고 광학계 후면부다.
▶ Voigtlander Super Wide Heliar 15mm f4.5_L39 mount 자가수리
렌즈 이름 등의 정보 텍스트가 적힌 링(Front makeup ring)은 접착제로 부착되었고 이를 먼저 분리하고, 전면 광학부를 분리한다. 전면 메이커업 링을 제거하지 않은 상태에서 보이는 금속 링은 전면 요소 고정용이다. 반드시 메이컵 링을 제거한 후 그 아래 숨겨진 외곽 금속 링을렌즈 분해 도구 '게눈 렌치'를 이용해 반 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면 광학계 전면부가 간단히 분리된다. 광학 전면부를 분리하고 렌즈 전면을 보호하는 용도의 후드가 결합된 전면 알루미늄 부속을 고정한 나사 3개를 풀어 분리한다. (추가적으로 조리개 연동 커플러를 제거하고 조리개 유닛을 분해할 수 있다)
포커스 링 무한대 조작이 곤란한 원인은 렌즈 보호용 후드의 전면부 하우징 알루미늄 부분이 낙하 충격으로 0.7mm 정도 변형(아래 이미지의 12시 부분의 작은 찍힘 부분)되어 경통 내부 헬리코이드와 회전 조작 시 간섭을 생기기 때문이었다. (광학부 유닛은 별도의 중앙부 조리개 부속에 고정되는 구조라서 광축 틀림 문제는 관계없다. 따라서 후드 전면부 부속만 살짝 비틀린 단순한 문제라 자가 수리는 비교적 간단히 끝났다) 고정 후드 파트의 변형된 부분을 복구하고, 헬리코이드 회전에 간섭하지 않도록 미세 교정을 위한 spacer를 끼우고 나사를 조여 재조립했다.
후면부는 이번 수리와 관련 없지만, 이왕 시작한 분해이니 마저 분해했다. 후면은 렌즈 마운트 고정 나사를 풀고 제거하고 후면 광학부를 둘러싸고 있는 보호용 금속 가드(측면의 고정용 무두 나사를 풀고)를 반 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면 렌즈 후면 파트가 간단히 분해된다. 코시나 보이그랜더의 L39 스크루 마운트 렌즈는 나사산 체결 방식의 단점인 카메라에 따라 렌즈의 정확한 위치 정렬(렌즈 포커스 기준점과 카메라 수직 일치)이 미세하게 틀어짐에 대해서 렌즈의 마운트 고정 부분에 일정 간격의 연속된 3개의 나사홀이 있어서 카메라에 따라 맞춤 조절할 수 있는 세심하게 고려된 만듦새가 인상적이다.
▶ Voigtlander Super Wide Heliar 15mm f4.5_L39 mount 광학구성과 코시나 보이그랜더의 렌즈 명명법에 대한 TMI
-아래 광학식 이미지 참조 -이 렌즈 광학 구성은 자이스 Biogon 유형 광학식이고, '비오곤'은 칼 자이스의 브랜드이지만, 짧은 후방초점거리를 갖는 경박단소의 초+광각렌즈(90도 내외의 화각)의 대표 광학 구성이라 할 수 있다. 이와 대척점(미러박스 공간 탓에 긴 후방초점거리가 필요한)의 SLR 카메라 장착용 초고광각과 광각 렌즈는 역초점/레트로포크스 광학설계이며, 자이스 브랜드 '디스타곤/distagon' (동독 자이스-'플렉토곤/flecktogon')에 해당한다. 카메라의 플랜지 백 거리(렌즈의 후방 초점거리) 제한 탓에 SLR/DSLR 카메라 주류 시기에는 '디스타곤' 일색이었다. 비오곤과 디스타곤은 레인지파인더 카메라와 SLR 카메라의 차이처럼 고유의 장점과 단점이 있다. 비오곤/Biogon과 디스타곤 광학식의 특허권은 이미 오래전(비오곤은 1934년 출시)에 소멸되었지만, 상표권은 여전히 자이스에 존속해서 다른 제조사에서 해당 광학식 명칭을 라이센스 계약 없이 사용할 수는 없다.
비오곤 유형의 렌즈에 별도의 명명법을 적용할 수도 있지만, 대부분의 경우 초점거리와 조리개 사양 정도만 표시하는 정도가 일반적이다. 코시나 보이그랜더는 'Super Wide Heliar' 명칭을 초+초광각 렌즈군에 명명하고 있는 듯하다. 칼 자이스의 비오곤은 크게 3번의 변화가 있었는데 Voigtlander Super Wide Heliar은 대칭형과 역초점 설계의 영향/장점을 모두 반영한 설계에 해당한다.(대칭형 광학식이라 부르지만, 대칭형의 특징만 있는 것은 아니다)
이 렌즈가 출시한 2000년 즈음 코시나의 RF 카메라인 Bessa 장착용으로 L39 마운트와 이후 VM(라이카 M 마운트와 호환) 마운트로 출시했다. 당시에는 SLR과 DSLR 주류 시장 흐름과 차별된 코시나 보이그랜더의 시도가 나름 신선해 보였지만, 사실, 디카로 대표되던 폭발적 성장에서 한참 빗겨나 있어서 소수의 RF 카메라 애호가들 정도만 관심이 있었다. (2000년대 초반까지 Contax g1과 g2용 비오곤 렌즈 21mm f/4, 28mm f/2.8 있지만, AF 렌즈이고 전자접점의 콘탁스 G 전용 마운트 규격이었다) 그러나, 2010년 이후 디지털 미러리스 카메라의 등장 이후 보이그랜더의 경박단소 수동 전용 레인지파인더용 단렌즈는 일부 RF 마니아의 전유물에서 디지털 카메라와 수동 렌즈와의 조합의 인기 덕분에 일반 사용자에게 주목받는다. 최근에는 디지털 미러리스 카메라에 최적화된 초광각에서 광각 AF가 가능한 디지털 미러리스 카메라용 비오곤 광학식 렌즈가 콤팩트함을 내세우며 출시하는 경우도 심심찮다. 유행의 흐름이 어디로 흘러갈지 정말 알 수 없다.
코시나 보이그랜더는 비오곤 유형의 렌즈를 'Super Wide Heliar' 로 명명한 것은 또 아니다. 비오곤 기반의 Color-Skopar 21mm, 25mm, 28mm, 35mm 등의 예처럼(컬러 스코파가 모두 비오곤인 것은 또 아니고 최근의 Color-Skopar 50mm f2.2는 sonnar 파생형), 코시나 보이그랜더 렌즈에 붙은 명칭은 '적용 광학식'이 아니라 자체적인 제품군 분류 목적 또는 마케팅을 위한 브랜드라고 생각한다. 라이카 또한 20세기 초기에는 자이스 방식의 광학식 위주의 렌즈 명명법-Elmar, Summar 등-을 취했으나 2차 세계대전 이후에는 자체적인 렌즈 제품 라인을 분류하는 목적-Summicron, Summilux 등-으로 변한 듯하다. 자이스 이콘에 합병되기 이전의 구 보이그랜더의 주요 광학식 명명법 특징은 광학식 기반이었는데 이를 요약하면, Heliar는 트리플랫 기반의 파생 유형, Skopar는 Tessar 유형, Ultron은 더블 가우스 유형, Nokton은 밝은 렌즈를 위한 더블 가우스에 비대칭성이 가미된 유형이었고, 구 보이그랜더는 초광각에 해당하는 별도의 광학식 명칭이 없었다.
코시나 보이그랜더의 분류 체계는 광학식 기반이 아니라 15mm 이하의 초초광각 렌즈에는 Super wide Heliar, 20mm에서 35mm 사이의 최대 조리개 개방 f/2 또는 2.8 이하의 경박단소(콤팩트) 초광각과 광각 그리고 표준 초점거리 렌즈에서 Color-Skopar, 광각과 표준 초점거리의 f/1.8 또는 2 사양에 Ultron, 울트론 보다 빠른 렌즈에는 Nokton 명칭을 사용하는 것으로 보인다. (이외에 원조 헬리어 광학식 -주로 3군 5매 구성- 렌즈에는 Heliar 또는 Heliar classic 명칭을 사용하고, 색지움 렌즈-Achromatic lens-의 경우 Apo- 명명법을 사용) 따라서, 코시나 보이그랜더의 렌즈 이름에 따라 광학식을 대충 짐작하다가는 엉뚱한 오해나 착오의 경우가 잦으니 광학 구성 다이어그램의 확인을 추천한다.
▶ Voigtlander Super Wide Heliar 15mm f4.5_L39 mount 렌즈의 분해 상세 정보에 대한 해외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