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Stories about photography and cameras/Optical Lens Design

<렌즈의 광학구성(Optical Design)과 구조 X IX> 망원 렌즈와 장초점 렌즈에 대하여 - 망원 광학 설계의 특징 / Telephoto lens & Long-focus lens Notice - 일반적인 상식 수준에서 다루는 비전문적이고 깊이 없는 포스팅이므로 숨겨져 있을 오류와 논리적 비약, 수다쟁이의 헛된 망상에 주의가 필요하다. ▶ 망원경(Telescope)의 광학 구조 이전, 뷰파인더 구조에서 다룬 적이 있으므로 이전 수다 중 일부를 인용하자. 자기 복제?가 조금 찜찜하지만, 동일한 내용을 다시 정리하는 것은 별 의미가 없지 싶다. 갈릴레오(Galilean) 망원경 최초의 망원경으로 한 장의 볼록렌즈와 한 장의 오목렌즈로 광학요소로 이루어진다. 망원경을 통과해서 보는 상은 정립상으로 보인다. 시야율이 좁으며 배율 확대가 제한적이다. - 케플러(Keplerian/Kepler type) 망원경 천문학자 요한 케플러에 의해 설계된 망원경으로 두장의 볼록렌즈로 구성되며, 배율 조..
<렌즈의 광학구성(Optical Design)과 구조 X VIII> 초점호흡(포커스 브리딩) 억제를 위한 광학 설계와 포커스 시스템 / Focus breathing & floating elements design Notice - 상식 수준에서 다루는 비전문적이고 깊이 없는 포스팅이므로 숨겨져 있을 오류와 논리적 비약, 수다쟁이의 헛된 망상에 주의가 필요하다.  일전 초점 호흡/포커스 브리딩(focus breathing)에 대해서 설명했었는데, 좀 더 보충해서 설명했어야 할 내용이 빠졌다. 초점 호흡에 대한 설명은 이전 수다의 링크로 대신하자.2018/01/19 - [사진과 카메라 이야기/Camera & Lens Structure] - 초점 호흡 (포커스 브리딩)에 대하여 / About focus breathing 초점 호흡 (포커스 브리딩)에 대하여 / About focus breathing" data-og-description="Notice - 얄팍한 상식 수준에서 다루는 비전문적이고 깊이 없는 포스팅이므로 ..
<렌즈의 광학구성(Optical Design)과 구조 X VII> 카메라 표준 렌즈 광학계의 구성 및 설계 / About Optical design of normal lenses (35mm full-frame) Notice - 상식 수준에서 다루는 비전문적이고 깊이 없는 포스팅이므로 숨겨져 있을 오류와 논리적 비약, 수다쟁이의 헛된 망상에 주의가 필요하다. 카메라 광학 구성과 설계에 대하여 관심이 많은 편이다. 이를 통해 대단한 분석을 할 수 있는 것은 아니지만, 올드 렌즈의 광학 구성에 따른 일반적인 특징이나 소소한 광학 발전사를 일부 이해할 수 있고, 옛날이야기를 찾아서 읽는 재미 정도다. 렌즈의 광학 구성이란 카테고리를 만들고 연작으로 수다를 이어갔지만, 턱없이 짧은 지식과 흥미가 동하는 데로 무작위/무체계/무대포 즉, 3무(無)를 갖춘 수다 탓에 다시 봐도 정신 사납다. 이런 엉성하고 그리 보잘것없는 관심이라도 함께 공유할 수는 없을까 고심하다가 자주 언급되고 종종 올드 렌즈를 이해하는데 알아두면 도움이..
<렌즈의 광학구성(Optical Design)과 구조 X VI> 상면만곡 - 페츠발 필드 곡률과 왜곡 수차 / petzval field covature & optical destortion Notice - 상식 수준에서 다루는 비전문적이고 깊이 없는 포스팅이므로 숨겨져 있을 오류와 논리적 비약, 수다쟁이의 헛된 망상에 주의가 필요하다. 광학 수차(자이델의 5 수차) 중에서 가장 언급이 적었던 상면만곡(像面彎曲)에 대해서 물고 뜯고 맛보는 기회를 가져보자. 상면만곡의 다른 명칭은 페츠발 필드 곡률(Petzval field covarture)이다. 광축에 수직인 평면 물체가 평면인 상면에 제대로 초점이 맞지 않는 수차를 말한다. 광학 수차는 각각 별개로 존재하기보다는 서로 연관되어 있는데, (편의상 각 수차를 구분해서 설명하지만, 사실 한 손에 달린 다섯 손가락 정도의 관계로 이해하는 것이 좋겠다) 상면만곡 또한 구면수차, 비점 수차, 코마수차 그리고 왜곡 수차와 서로 관련 있다. ▶ 상면만곡..
<렌즈의 광학구성(Optical Design)과 구조 X V> 초광각 대칭형 광학식의 원형 - Russar MR-2 20mm f5.6 / Pyccap MP-2 20mm f5.6 Notice - 상식 수준에서 다루는 비전문적이고 깊이 없는 포스팅이므로 숨겨져 있을 오류와 논리적 비약, 수다쟁이의 헛된 망상에 주의가 필요하다. 최신의 렌즈들은 멀티 코팅 기술과 새로운 광학 소재의 개발과 활용 그리고 컴퓨터를 이용한 광학 설계로 매우 복잡하고 다양해졌다. 따라서 단순히 광학 설계식이나 구성 요소의 배치로 렌즈의 특성을 파악하기는 거의 불가능해서 MTF나 상세 리뷰 등을 통해서 짐작하거나 포토 리뷰 등을 찾아서 간접 체험하는 정도다. 하지만 올드 빈티지 렌즈는 그 간명한 광학 구성이나 특징적인 요소의 광학 설계 디자인, 구성 도면만으로도 그 렌즈 고유의 랜더링 특성을 유추하는 재미가 있다. 그리고 광학 설계가 만들어지고 실제 렌즈가 제작되던 과정의 이야기는 어린 시절 할머니 무릎을 베..
<렌즈의 광학구성(Optical Design)과 구조 X IV> 에르노스타와 조나 / Ernostar & sonnar Notice - 상식 수준에서 다루는 비전문적이고 깊이 없는 포스팅이므로 숨겨져 있을 오류와 논리적 비약, 수다쟁이의 헛된 망상에 주의가 필요하다. 출처: http://surplusperson.tistory.com/313 [산들산들] Notice - 상식 수준에서 다루는 비전문적이고 깊이 없는 포스팅이므로 숨겨져 있을 오류와 논리적 비약, 수다쟁이의 헛된 망상에 주의가 필요하다. 출처: http://surplusperson.tistory.com/313 [산들산들] Notice - 상식 수준에서 다루는 비전문적이고 깊이 없는 포스팅이므로 숨겨져 있을 오류와 논리적 비약, 수다쟁이의 헛된 망상에 주의가 필요하다. 'Ernostar' 렌즈 이름은 조금 생소하게 들릴지도 모른다. 하지만 Carl Zeiss의 대..
<렌즈의 광학구성(Optical Design)과 구조 X III> 비점 수차와 비점 수차 보정 렌즈 / Astigmatism & anastigmat lens Notice - 상식 수준에서 다루는 비전문적이고 깊이 없는 포스팅이므로 숨겨져 있을 오류와 논리적 비약, 수다쟁이의 헛된 망상에 주의가 필요하다. ▶ 비점 수차 / Astigmatism 비점 수차는 자세히 뜯어보면 그 개념은 그리 어렵지 않으나 간명하게 정의하자면 조금 난감하다. 이해하기 쉽게 간단히 언급해보자. 광학계를 통과한 상이 광학요소 굴절로 인하여 주변부가 흐려지는 것 (점이 흐릿해져서 원으로 표시되는 '비점-非點')을 말하는데, 흔히 우리 눈의 경우 상하나 좌우 등 방향에 따라 굴절률이 다른 경우 비점 수차가 발생하고 이를 '난시'라고 부른다. 비점 수차 발생 원인에 대한 보다 상세한 설명은 인용으로 대신하자. 광학계의 수차의 일종. 광학계에서 광축 밖의 물점의 상은 자오적 평면 내와 구결적..
<렌즈의 광학구성(Optical Design)과 구조 X II> 쿠크 삼중 렌즈 / Cooke Triplet Lens Notice - 상식 수준에서 다루는 비전문적이고 깊이 없는 포스팅이므로 숨겨져 있을 오류와 논리적 비약, 수다쟁이의 헛된 망상에 주의가 필요하다. 쿠크 삼중 (Cooke Triplet) 렌즈는 초기의 광학기기(사진 및 영상용 카메라) 발전에 큰 영향을 끼친 대표적인 광학 설계식 중 하나이다. 쿠크 삼중 렌즈의 설계는 렌즈의 주변부에서 발생하는 왜곡과 각종 수차 문제를 해결한 설계식으로 이후 사진과 시네마 렌즈뿐만 아니라 쌍안경 등의 광학 설계에도 많은 영향을 주었다. 쿠크 삼중 렌즈의 주요 구성은 3매 3 군인데 크라운 유리의 2매 구성요소에 플린트 유리의 1매가 사이에 들어간 형태다. (크라운 유리와 플린트 유리는 각각 굴절률과 아베 수가 다르고 각 구성요소의 구면 곡률과 요소 간의 간격을 통해 왜곡..

"); wcs_d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