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About Cinema & video shooting/Video and digital camera

디지털 이미징의 기술적 지향점과 "필름 룩"- 필름과 아날로그 화상 신호 그리고 디지털 이미지 IV / Film look - Film & analog video signals and ... Digital image signals 4

Notice 얄팍한 상식 수준에서 다루는 비전문적이고 깊이 없는 포스팅이므로 숨겨져 있을 오류와 논리적 비약, 수다쟁이의 헛된 망상에 주의가 필요하다.

 

 

디지털 카메라 시대에 고품질의 이미지나 영상을 얻기 위해서는 고성능의 촬영 장비와 정확하고 동시에 감각적이고 후반 작업 기술을 가지고 있으면 어지간한 촬영상의 기술적 문제는 대부분 해결된다. 즉, 고성능의 자동화된 촬영 장비는 기술적인 정확도를 어렵지 않게 확보하고, 저장되는 화상의 풍부한 정보 데이터를 기반으로 감각적인 후반 작업을 통해 사전에 의도한 표현, 연출로 이미지나 영상을 완성하는 것이 현재 디지털 이미지/영상의 가장 보편/전형적인 작업 방식이라 생각한다.

 

 

'필름' 사용은 결코 만만하지 않다. / Using film is never easy

 

이런 디지털 이미지 작업의 뛰어난 효용은 필름 촬영 과정과 비교하면 더 확연하게 체감된다. 즉, 카메라 등의 기타 장비에서 촬영을 위한 각종 편의 기능과 정확한 자동 기능은 그 자체로 "잘 찍은, 즉, 기술적으로 안정적이면서 충분한 데이터를 가진 이미지/영상은 얻을 수 있다. 하지만, 필름 카메라에서는 잘 찍은 사진을 얻기 위해 고려해야 할 사항이 상대적으로 꽤 많다. (카메라의 오토 기능이 지금의 디지털 카메라 기능만큼 다양하지 못하거나 그 완성도에 미치지 못하는 문제도 있지만) '필름' 자체가 다루기 아주 까다롭고, 적정 노출은 사전에 예측해서 미리 적용하여야 할 요소가 많고 그리고 중요하다.(따라서 노출만 잘 맞춰도 사진 절반은 성공이란 속설도 꽤 설득력이 있었다)

 

각 필름마다 고유의 감광 특성과 이에 따라 현상 후의 결과물에서 시각적 표현의 특성이 이미 결정되어 있고, 제조사나 필름 종류, 감도에 따라 필름의 속성이 제각각 달라서, 사용 환경이나 상황에 맞게 이를 사전에 충분히 고려하여 선택해야 했다. 필름 저마다의 특성은 네거티브나 포지티브, 그리고 감도나 색온도 특성으로 단순히 분류할 수도 있겠지만, 제조사별, 필름의 종류별로 세밀하게 들어가면 정말 복잡하다. 단순히 필름 특성의 요약된 정보를 찾고 외워서 해결되는 문제도 있지만, 그 필름 고유의 특성을 십분 활용하기 위해서는 충분한 사용 경험에 기반한, 일종의 경험치를 쌓고 스스로 이를 체득하는 과정이 필요했지 싶다. 더구나 현상과 인화는 촬영과는 또 다른 의미에서 전문적인 기술이 필요하고, 이때의 처리 기술에 따라 최종 이미지나 영상의 품질도 결정된다. (일반 사용자를 위한 일상적 용도에 맞도록 제품화된 일명 오토 카메라용 필름을 선택하면 일상적인 사진 자체를 얻는 데는 큰 문제는 없다. 하지만, 일정 수준의 숙련과 노하우를 가진 '사진사' 또는 전문 사진작가의 결과물과는 큰 차이를 보이는 것은 어쩌면 당연하다)

필름의 현상과 인화라는 과정이 필요해서 촬영된 이미지를 촬영 현장에서 확인할 수 없으며, 이를 극복하기 위해서는 촬영 시 현상과 인화로 얻게될 이미지를 사전에 예측해야 했다. 이런 예측은 촬영에 직접 관련 지식과 기술, 경험뿐만 아니라 필름의 특성이나 촬영 환경에 알맞은 필름의 선택 등 여러 지식이 어우러져야 했고, 필름 시대의 전문 직업으로서 사진사는 이런 필름 사진을 잘 찍는 것만으로도 (그것이 '좋은 사진' 여부와 관계없이) 일차적인 목적을 달성하는 것도 중요한 기술이었다고 생각한다. 어떤 의미에서 필름 카메라 시대에 사진사는 지금 보다는 훨씬 전문 직업으로 일반에게 인식될 수밖에 없는 이유도 여기에 있었지 않았을까.

 

름 사진/영상 촬영의 어려움은 여기서 끝나는 것이 아니다. 현상과 인화는 또 다른 문제다. 사진 촬영 후 대부분의 필름을 전문 현상소에 맞겨 현상/인화를 거치면 사진은 얻어진다. (일부 흑백 필름의 경우, 개인 작업을 통해 현상되었고, 지금도 이루어진다) 으레 사진이 망치면 먼저 현상소 탓을 하는 경우가 많은데, 사실 모든 책임을 현상소에 전가하는 것은 좀 심한 처사고 현상 기술자 입장에서는 억울한 일이지 싶다. 불특정 다수의 고객을 대상으로 하는 일반 현상소는 기본적인 매뉴얼에 따라 현상/인화 서비스를 제공할 수밖에 없을 테니, 개개인의 취향이나 개별 요소를 모두 반영할 수 없다. 촬영과 현상/인화는 하나의 일련 작업으로 상호 연관되고 이를 토대로 촬영 과정에서 개별 사항이 현상/인화 과정에서 상호 보완되어야 이상적이다. 일반 다수를 대상으로 하는 현상소에서 (일종의 매뉴얼화된) 가장 저렴한 현상/인화 서비스를 이용하면서 촬영 시의 그 많은 고려 사항이 모두 반영된 고품질 서비스의 결과물을 요구하거나, 촬영자의 부주의나 실수, 일반적인 사용 기준에서 벗어난 개별적 요소까지 서비스에 반영되길 바라는 것은 너무 많은 것을 요구하는 것은 아닐까. 더구나 이런 특이 정보를 현상소에 제대로 알리지 않는 경우가 허다하다. (일례로 주광용 필름으로 저녁 무렵 석양이나 다른 색온도(텅스텐 조명 등) 조건의 피사체를 촬영하거나 다수의 장면이 담긴 필름 한롤에 각 장면마다 노출이 제각각으로 노출 적용에 일관된 기준이 없다면, 그리고 이에 대해서 현상 기술자에게 사전에 아무런 정보도 제공되지 않은 상태에서 그 결점을 보완한 현상/인화의 기술이 적용될 리 만무하다. 이유 없이 남 탓하기는 아주 쉽다. 사실 이런 관행이나 서비스, 현상 기술의 문제와 동시에 비용의 문제도 큰 이유가 아닐까 생각한다.

 

소시적에는 전문 사진작품이나 할리우드 영화의 그 감각적인 색감과 비교해서 앨범 속의 일반적인 사진이나 한국 영화의 왠지 밋밋하거나 우중충한 화면을 보고 단순히 사용 필름이 다르다거나, 촬영장의 환경의 차이, 조명 기술의 차이, 포스트 프로덕션에서의 기술 격차의 이유가 아닐까 생각했지만, 전문 사진 작품 촬영이나 영화 제작에 투입되고 소요되는 자본의 규모를 생각해보면 이 또한 이해되는 측면이 크다. 이를 마냥 촬영 또는 필름 다루는 기술이 부족해서라고 말하면 조금 억울하지 싶다. (좋다는 것은 알고 있지만 좋은 것 다 하면서 살 수는 없다는 것쯤은 다들 알고 있지 않은가. 비싸고 -그 비용 차이만큼은 정비례로 질이 좋아지는 것은 아니지만- 더 좋은 양질의 서비스는 이 자본주의 사회에서 필연적으로 존재한다. 그렇지만 보통의 경우, 여러 사정(대부분은 돈 문제)으로 무리해서 반드시 그 서비스를 이용하지 못하는 현실적인 한계 같은 것 말이다. 

 

디지털 이미징 프로세스를 기반으로 한 이미지나 영상 촬영에서는 필름의 이런 문제(특히 고비용과 필름에 특화된 기술의 적용 여부)에서 벗어나 한결 개선된 조건이 되었지 싶다. 물론, 모두가 좋은 결과물을 쉽게 얻는다는 의미는 아니지만, 자신이 원하는 시각적 표현을 위해 치러야 하는 소모 값이 확연히 줄어든 점은 부정할 수 없다. (영화 관련 상업/비즈니스 자본의 힘은 이런 변화에 따라 고 비용의 각종 스펙터클한 연출과 현란한 CG 등을 통해 또 다른 격차를 만들지만...)

 

 

▶ 화상(이미지와 영상) 기술의 초기 지향점 / The ultimate goal of image (film and video) technology

 

필름 또는 아날로그 화상 기술, 그리고 지금의 디지털 화상 기술이 추구하는 궁극적 지향점은 무엇일까(이었을까)? 필름 등의 역사에서 알 수 있듯이 앞에서 나열한 화상 기술의 (공통적인) 초기 기본적인 목표/지향점은 현상을 촬영하여 현실감 있게 (사실적으로) 기록하고 다시 재현하는 것이었다고 생각한다.

 

문득, 홍콩의 미래는 어떻게 될까? 궁금하다. <출처-구글링>

각각의 기술적 특성 차이로 필름은 상대적으로 뛰어난 화질(해상력과 색 표현력, 계조, 다이내믹 레인지-DR은 아날로그 개념이고 필름에서는 딱 맞아떨어지는 개념이 모호한데 예를 들자면 '표현 가능한 명암비의 범위'라 해야 하나 싶다-  등)로 아날로그 화상 기술은 아날로그 신호 기술을 활용한 실시간(라이브) 중계 또는 화상 전송에 전파를 활용하는 편의성(TV 방송 등), (필름 롤과 비교하면) 마그네틱 테이프나 자기 디스크 등의 진일보한 (그리고 여러 번 사용 가능한) 저장장치 장점을 가지고 있었고, 따라서 필름은 사진과 영화(시네마)의 화상 기술로 그리고 아날로그 화상 기술은 TV 방송이나 가정용 비디오 등의 기술로 각자의 영역에서 주류 기술로 자리매김했다. 이 둘의 기술적 접점이나 혼용 지점이 전혀 없었던 것은 아니지만, 각 기술의 장점 따라 적합한 분야에서 활용되는 당연한 결과였다고 생각한다. 하지만, 1970~80년대를 거치며 상대적으로 기술적 발전이 정체되었던 필름 화상 기술에 비해 아날로그 화상 기술은 디지털 기술과 결합하며 (디지털 이미지 센서로 대변되는) 기존의 장점을 극대화하고 필름과의 화질에서의 격차를 빠르게 좁혔으며 또한 더 편리하고 더 경제적인 방식으로 거듭나며, 마침내 필름 화상 기술이 우위를 보이던 영역을 대체했다. 그 결과 2000년 이후의 디지털 TV 방송과 스틸 이미지, 그리고 마지막으로 영화/시네마 분야까지 디지털 이미징 기술 중심으로 변모했다.

 

필름이나 아날로그 화상, 디지털 화상 기술이 '장면이나 시각적 현상의 화상을 저장 또는 사실적 재현'이라는 초기의 기술적 지향점은 거의 동일해 보인다. 하지만, 앞서 언급한 각기 상이한 기술적 특성과 각 주요 활용 분야의 최적화하여 '필름 화상 기술'은 사진이나 영화(시네마)를 통해 높은 화질을 기반으로 한 시각적 표현/연출의 자유도 확보와 심미적/예술적 표현에 비교 우위에 있었다고 생각한다. 이는 다양한 필름의 종류와 사진이나 영상의 편집 등 후반 작업(포스트 프로덕션)을 통해 이를 효과적으로 구현했다 (영화는 각본, 음악, 연극적 연출 등이 결합하여 대표적인 종합 예술로 장르가 되었고, 필름 기반의 사진과 영화는 실용성뿐만 아니라 예술 작품/행위로도 강하게 인식되었지 싶다) 이에 비해 아날로그 화상 기술은 뉴스 또는 스포츠나 각종 행사를 실시간 중계하는 보도/중계 중심의 화상 기술 즉, 현상의 사실적이고 신속하며 현장성 중심이 기술의 비교 우위에 있어고 이런 우위를 최대화하는 것이 기술 지향점이지 않았을까 생각한다. 이런 결과로 아날로그 화상 기술 즉, 비디오는 실용적인 화상 기술로 실생활에서의 화상 기술 측면이 강했지 싶다. TV 방송에서 예술적인 또는 감각적인 영상미가 필요한 경우, (일례로 당시에는 감각적인 TV 광고용의 CF나 뮤직 비디오) 영화 제작 방식의 필름 화상 기술로 촬영하고 이를 텔레시네를 통해 TV 송출에 적합한 아날로그 화상으로 전환(비디오화)하는 각각의 기술 영역이 구분되면서 동시에 공존하는 상황이었다고 생각한다. 

 

 

▶ 현재 디지털 화상(이미지와 영상) 기술적 지향점과 "필름 룩" / Current digital image (image and video) technical goals/points and film look

 

사진 촬영과 일반적인 영상 녹화 그리고 영화 촬영 분야까지 디지털 이미징 기술 적용이 당연시되는 현재 상황에서 디지털 화상 기술의 지향점은 "장면이나 시각적 현상의 화상을 저장 또는 사실적 재현"과 더불어 기존 필름 기술에서 주목했던 "높은 화질을 기반으로 한 시각적 표현의 자유도 확보와 심미적/예술적 표현"까지 확장된다. 기존 디지털 TV 방송의 기술 표준 수준에 맞춘 그리고 화상을 재생하는 디스플레이 장치의 사양이 향상되는 것에 발맞춰 사실적 재현의 정도가 향상되는 것은 물론이고, 스틸 사진이나 영화/시네마 촬영에서 요구되는 부분까지 모두 아우르는 업그레이드다.

 

한편, 이런 변화는 기술 발전으로 사진과 영상/영화까지 디지털 화상 기술 일색이 되었고, 아날로그 화상 기술 기반에 효율적인 데이터의 처리/저장/전송을 위한 디지털 기술과 디지털 룩의 부족한 부분을 채우기 위한 필름 화상의 다채롭고 자유도 높은 시각적 표현 기술이 융합된 형태가 현재 디지털 화상의 지향점이라 생각한다. 총 천연색의 강한 대비가 주는 디지털 룩의 인위/인공적인 비쥬얼을 필름 화상의 감성으로 보완하는 노력을 통칭해서 '필름 룩(film look)'이라 칭하지 싶다. 그리고 디지털 기술에서 이런 보완과 확장 지향은 앞으로도 지속되리라 생각한다.

 

이런 변화를 단적으로 잘 드러나는 것이 최근 TV 드라마 영상이다. 기존 TV 방영 드라마와 달리 최근의 드라마의 영상은 '필름/시네마 룩'의 장면들을 쉽게 확인할 수 있는데, 이 또한 디지털 화상 기술과 이를 보완하는 '필름 감성' 융합의 대표적인 예로 들 수 있겠다.

 

<출처>&nbsp;https://fujifilm-x.com/global/stories/tales-of-the-x-t4-tale-3-eterna-bleach-bypass/

 

현재 디지털 화상 기술의 지향점을 세부적으로 들여다 보면 흥미로운 지점이 꽤 있다. 먼저, 풍부하고 세밀한 데이터의 확보를 위한 기술적 고려는 기본적인 특징이고, 그 이외에 심미적인 효과로서 "필름 룩이나 각종 특수한 보정 (필터)"을 위한 기술 확대가 눈에 띈다. (고화질-고해상력, 높은 선예도, 사실적인 색재현, HDR, FPS 등-의 추구로 다양한 보간 방식이나 노이즈 감소 방식, 그리고 세밀하고 풍부한 데이터 확보로 인한 이미지/영상 데이터 자체의 용량 증가, 이를 원활하게 처리하기 위한 프로세싱 과정의 처리 기술이나 압축/저장/전송/하드웨어 성능 등에 대해서는 이미 이전 수다로 여러 번 다루었으니 여기서는 생략하자) 즉, 현재 디지털 화상 기술은 세밀하고 풍부하며, 정확한 데이터를 얻는 것이 일차적 목표이고, 이런 세밀하고 풍부한 데이터를 바탕으로 가공 편의성과 폭을 확보하여 다양한 시각적 표현의 폭넓은 용도, 다채로운 시각효과를 추구한다. 나아가 멀지 않은 미래에는 이미지와 영상 속의 시각적인 각종 정보를 실시간으로 분석하여 인공 지능 등을 통해 적극적으로 활용하는 방향으로 점차 나아가지 싶다. 

 

 

▶ 디지털 화상에서의 "필름 룩" 구현 방법

 

'필름 룩'은 카메라 제조사에서 사용자 편의를 위해서 제공하고, 촬영 시 사전 선택하여 적용하는 방식(카메라의 촬영 모드에서 선택할 수 있는 일종의 이미지 프로파일 (PP) 모드)과 촬영 시에는 충실한 데이터 확보에 주력하고 후반작업에서 별도의 전용 프로그램 등을 이용한 포스트 프로덕션을 통한 방식으로 나눌 수 있다. 두 방식 중 어느 쪽이 더 낫다는 단순한 비교보다는 사용 목적에 맞는 효용 측면에서 보는 것이 더 타당하다 생각하며, 이는 편의성에 중점을 두고 아마추어나 비 전문가들의 원활한 효과 적용 측면에서는 전자의 방식이 꽤 유용하고, 다양하고 폭넓은 후반 작업과 더 세밀한 효과를 요구하는 작업에서는 후자의 방법이 더 유용해 보인다.   

 

'필름 룩'은 후반 작업에서 일명 보정을 통해 적용하는 것으로 필름 화상 기술에서도 적용되고, 그리고 현재 디지털 기술에서 부수적인 결과로 밖에 볼 수 없어서 현재 디지털 이미지 기술의 주요 요소라고 할 수 있느냐고 반문할 수도 있겠다. 이는 '필름 룩'을 후반 보정에 작업으로 너무 협소하게 이해하고 있지 않나 생각한다. 일명, 필름 룩은 사진이나 영상 촬영에서 선택 가능한 촬영 효과 모드나 프로파일 또는 필름 시뮬레이션 등으로 다양하게 불릴 수 있다. 굳이 '필름 룩'이라는 명칭에 국한되어 이를 너무 협소하게 생각하지 않았으면 좋겠다. 제조사마다 저마다 다양한 이름으로 부르는 각종 시각적 효과와 촬영 모드(옵션)로 디지털 화상 기술 + '알파'의 의미로 넓게 이해하는 것도 좋겠다.

 

 

'필름 룩'을 포함한 각종 보정의 활용에 대하여

 

디지털 이미지에 필름 룩 등의 시각적 보정 효과를 구현하는 가장 간편한 방식은 카메라에 내장된 각종 필름 룩 프로파일이나 필름 시뮬레이션, 마이 스타일 등의 일정 효과를 선택 적용하는 것이다. 하지만, 사진이나 영상을 다루는 전문적 영역에서의 보정 효과는 Raw나 로그 프로파일, 하이퍼 감마 프로파일 등 충실한 원소스를 기반으로 별도의 후반 작업을 통해 이루어지는 방식(워크 플로우)이 현재는 가장 많이 선택되는 일반적이지 싶다. 후자는 완성도와 자유도 측면에서 매우 효과적이지만, 별도의 작업 시간과 비용 그리고 작업자의 기술(후반 보정의 숙련도나 감각)에 따라 그 완성도가 좌우되는 측면이 있고, 전자는 간편하지만 제조사나 사전에 설정된 효과에 따른 일률적인 면이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최근의 다양한 필터 효과와 각종 프리셋 룩의 보정 기능으로 그 효용은 점차 더 커질 것이 분명하고, 특히, 실시간 라이브 영상 송출이 필요한 조건(유튜브 등에서의 라이브 방송이나 홈쇼핑 방송 등) '보정을 위한 후반 작업'을 진행이 불가능한 경우에는 효용이 크다고 생각한다. 

 

'필름 룩'과 관련하여 가장 재미?를 보고 있는 것은 아마도 후지필름 카메라 아닐까 싶다. 후지 필름의 필름 시뮬레이션은 이런 기존 발매되었던 다양한 스틸용 필름뿐만 아니라 최근에는 영화 촬영용 필름(이터나) 효과까지 확대하면서 번거로운 후반 작업을 벗어나 준수한 그리고 기존 익숙한 필름 룩을 직관적으로 선택해서 손쉽게 적용할 수 있어서 흥미롭다. 

 

<출처>&nbsp;https://fujifilm-x.com/global/stories/tales-of-the-x-t4-tale-3-eterna-bleach-bypass/

실시간 라이브 송출 등과 관련해서 사족으로 몇자 덧붙이면, 영상의 보정 효과 등에 반드시 필름 룩 효과 프로파일이나 마이 스타일 등 내장된 필터 효과에 국한될 필요는 없다. 렌즈 전면에 부착하는 광학식 필터 등을 활용할 수도 있겠다. 근래 일종의 '뽀샤시 효과'를 적용하기 위해 블랙 프로 미스트 필터 (Black Pro-mist)나 소프트 효과 필터를 실시간 홈쇼핑 촬영에 활용하는 경우를 예로 들 수 있겠다. 그 외에도 상업적 목적의 바이럴 영상 등 촬영 현장에서 클라이언트가 직접 모니터링하는 경우에도 시각적으로 만족도를 높이는 용도로도 활용될 수 있겠다. 하지만, 후반 작업에서 세밀하고 다양한 효과 적용 측면에서 보면 일명 디테일을 살짝 뭉개서 표현한 원 소스를 얻는 방식이 항상 효과적이라고 생각하지는 않는다. (촬영 단계에서 선명하게 촬영하고 후반 작업에서 미스트 효과, 채도 조절 등을 적절하게 추가해서 충분이 이에 상응 또는 상회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그냥 그때그때 촬영 조건의 필요에 따라 취할 수 있는 선택지 중 하나이지 않을까. 촬영 시에 선 보정 효과의 적용과 후반 작업에서의 보정은 상호 일련의 작업 과정에서 보완적으로 적용한다면 그 효과와 후반 작업의 양을 줄이는 방법으로 활용할 수도 있지 싶다.

 

 

개개인의 선호와 취향은 다양하고 저마다 달라서 필름 룩이 효과적이거나 어떤 보정 효과가 최고의 선택이라 딱 잘라 말하기 어렵다. 현재 자주 회자되는 '필름 룩'이나 '필름 감성' 또한 이 연장선에서 이해하는 것이 타당하겠다. 채 십여 년 정도밖에 지나지 않은 초창기 디지털 화상 기술은 총천연색 컬러와 선명함에 열광했고, 흔히 '쨍한?' 이미지 표현에 찬사를 보냈지만, 최근에는 디지털식 세밀한 디테일이 인공적이라며 디테일을 살짝 뭉개어 소프트한 표현 방식이나 감성적인 '필름 룩' 또는 낮은 채도의 물 빠진 색감을 예찬하기도 한다. 이는 선호와 취향 그리고 유행이 반영된 결과이고, 일종의 주류에 대한 식상함과 피로감 (동시에 변덕?)의 표현일 수도 있겠다. 하지만, 개인적으로 필름 룩이 하나의 표현의 수단이자 선택 가능한 하나의 방법론에 지나지 않으며, 약간의 조미료? 이상의 대단한 기술이라 생각하지는 않는다. 물론, 다채롭고 자유로운 개성을 표현하는데 하나의 징검다리 또는 기존 필름 화상 기술이 남겨준 유산으로서 충분히 효과적으로 활용할 수는 있겠다. 현시점에서 기존 필름 화상 기술의 감각적인 향수로 인기를 얻지만, 이 또한 시간이 지나면 진부해질 것이고 그때 또다시 우리의 선호는 새로운 방식을 갈구하지 않을까.

 

 

이미지 촬영과 동시에 특정 효과를 적용하거나, 후반 작업 단계에서 보정하거나 그 활용의 방식에서 차이는 있을지 모르지만, 실질적 차이는 그리 크지 않아 보인다. 정작 중요한 점은 디지털 화상 기술이 실시간이든 사후이든 다양한 효과를 보정하여 적용할 수 있는 점이고, 이 효과를 다양하게 활용할 수 있다는 점이라 생각한다. 앞으로의 화상 기술은 다채로운 시각적 효과로 더 발전할 것이고, 그때 우리의 선호와 취향은 또 달라져 있을 테다. 기술적 측면에서 보면 무엇보다 더 정확하고 디테일한 원 소스 (이미지 데이터)의 필요성은 커질 수밖에 없어 보인다. 다가오는 초고화질 이미지와 이를 기반으로 미래의 카메라가 구현할 다양하고 편리한 각종 기능과 그때의 유행하는 이미지 효과를 미리 그려보는 것도 재미있겠다.


"); wcs_d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