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Stories about photography and cameras/Camera structure and how it works

<카메라와 렌즈의 구조 55> 외장 광학식 카메라 뷰파인더 그리고 디지털 카메라에서의 효용 / External optical viewfinder

Notice 얄팍한 상식 수준에서 다루는 비전문적이고 깊이 없는 포스팅이므로 숨겨져 있을 오류와 논리적 비약, 수다쟁이의 헛된 망상에 주의가 필요하다.

 

 

광학식의 외장 뷰파인더는 RF 카메라를 대표하는 액세서리 중 하나이지만, 먼저, RF 카메라에 대한 선호의 문제와 RF 카메라를 좋아하는 사용자라 해도 각자의 취향이나 추구하는 촬영 스타일에 따라 호불호나 선택이 분명히 나뉘어서 유용함과 특별한 장치 아니면 별다른 기능도 없는 구식의 불필요한 장치라는 극단의 평가도 가능하다. 이전부터 한번 다루고 싶었는데 개인적인 선호와 유용성을 잘 설명할 자신이 없어 차일피일 미루기만 했다. 광학식 외장 뷰파인더에 대한 사용 경험이나 분명한 취향이 없다면, 이번에 자신의 촬영 스타일에 견주어 판단해 보는 것도 좋겠다.

 

 

 

 

▶ 뷰 파인더와 카메라의 역사

 

외장 뷰파인더는 꽤 오래전부터 카메라의 촬영 장치로 활용되었지 싶다. 최초의 다게레오 타입 카메라 등은 별도의 뷰파인더 장치 없이 필름이 위치하는 곳에 렌즈가 통과한 상이 맺히는 스크린을 통해 구도와 초점을 맞추는 방식이었다. 서랍을 여닫는 방식으로 내부의 암실 상태를 유지하며 포커싱이 가능한 구조이다. 이는 현재의 대형 포맷 뷰카메라의 방식과 크게 다르지 않다. (단지, 다게레오 타입 카메라가 겹쳐진 두 개 상자로 이루어지고 마치 서랍을 여닫는 방식의 길이 조절을 통해 초점을 맞추던 방식에서 발전된 뷰 카메라는 길이 조절이 좀 더 자유로운, 그리고 접었을 때 밀착할 수 있는 벨로우즈 형태로 바뀐 정도가 아닐까 싶다. 물론 감광제와 렌즈는 큰 성능 발전이 있었지만, 카메라의 기본 작동 원리와 촬영되는 상을 확인하는 방식 또한 그대로다)

 

초기 카메라는 기술상의 문제로 (현재 기준에서 보자면) 중/대형 판형의 카메라였고, 안정적인 고정과 포커싱 조작의 편의를 위해 고정되어 사용되었으며, 다게레오 타입의 원리와 조작 방식에서 크게 달라지지 않았던 것 같다. 물론 여행 사진 등을 위한 Reisekamera 등이 인기를 얻기도 했지만, 현재 기준에서 보면 여행은 고사하고 실내에서 고정 운영하기에 벅찰 정도의 크고 무거운 대형 포맷 카메라다.  

 

출처 - 구글링

 

본격적인 뷰파인더의 등장은 아마도 휴대하기 편리한 중형 카메라 그리고 35mm 소형 필름을 사용하는 라이카 (바르낙)과 등장 이후이지 싶다. 간편한 소형과 중형 카메라의 등장 배경에는 규격화된 상용 필름 특히, 120 필름과 영화 촬영용의 35mm (135) 필름의 영향이 컸다. 휴대하며 핸드 헬드로 사용하는 작은 카메라였고, 따라서 대략의 촬영 구도/프레임을 확인할 수 있는 장치가 필요했고, 이는 빠른 순간 대응이 가능한 캔디드 촬영에도 적합한 방식이지 싶다. 초기의 형태는 총기류의 조준 가늠자 형태가 많았는데, 아마도 이 탓에 shot이 촬영이란 의미로 쓰이게 된 것이 아닐까.

 

뷰 카메라는 실제 촬영되는 상을 필름이 위치하는 곳에 설치한 스크린을 통해 직접 확인할 수 있어서 정확하게 구도와 초점이 맞는 부분 확인에 장점이 있지만, 카메라의 구조상 스크린에 상이 도립상(상하좌우가 반전된 상)으로 맺히고, 스크린을 확인하기 위해서는 검은 천 등으로 주변의 빛을 차단하여야 하는 운용 편의상의 단점이 있다. 하지만, 대형 카메라 자체가 순간 대응이나 핸드헬드 촬영 방식과는 거리가 멀어서 굳이 별도의 외장 뷰파인더를 활용하는 경우는 흔치 않았던 것 같다. 참고로 코닥 이스트만의 필름 형식 번호에 따라 구분되는 120 필름은 1901년 발매, 135 필름은 1936년 발매되기 시작했다. 현재는 사진기용 필름 하면 35mm의 135 필름을 떠올리지만, 1960년 이전까지 120 필름이 가장 대표적이고 많이 사용되는 필름 유형이었다. 그리고 135 필름이 등장하기 전의 바르낙 등 초기 소형 카메라는 영화용 35mm 필름을 소분하여 전용의 스풀에 감아서 사용하는 조금은 불편하고 수고스러운 카메라라 하겠다.

 

 

 

바르낙, 출처 - 구글링

 

 

 

 

콘탁스 1, Albada finder 출처 - 구글링

 

 초기의 뷰파인더는 거리계와는 별개의 장치였고 따라서 뷰파인더는 촬영되는 영역의 외부 윤곽을 나타내는 정도지 싶다. 1932년 contax 1에서 뷰파인더와 거리계가 결합한 형태로 만들어졌고, 따라서 최초의 레인지 파인더 카메라 또한 자이스 이콘의 콘탁스다. 위 이미지의 바르낙과 콘탁스 카메라의 뷰파인더는 (실물을 본 적이 없지만,) 폴더 타입이며, 콘탁스 알바다 파인더의 경우 50mm와 85mm, 135mm 초점거리 대응 프레임 윤곽선을 지원한다. 

 

 

초기의 뷰파인더는 단순히 외곽의 프레임만 나타내는 빈 금속 틀의 형태에 렌즈의 초점거리에 맞춘 윤곽이 표시되는 형태(가늠새)에 불과했다. 이는 파인더와 촬영자의 눈 간격에 따라 오차가 있을 수 있으므로 눈과 윤곽 프레임의 거리를 일정하게 하는 장치(접안부) 부분이 필요하다. 그리고 사람 시각의 원근감과 유사한 표준렌즈 장착에서는 단순한 윤곽을 보여주는 것으로 기능상 문제는 없었지만, 광각 렌즈 장착 시에는 단순한 윤곽 틀 형상으로는 효용이 떨어진다. 따라서 전면의 시야범위를 일정 확대하기 위해 광학 구성이 추가되었고, 망원경의 광학 구조를 차용한 방식, 대표적으로 케플리안 식과 역갈릴레안 식이 적용되었다. 이 또한 이전에 다룬 바가 있으므로 링크로 대신하자.

 

2017/01/07 - [사진과 카메라 이야기/카메라 구조와 작동 방식] - <카메라와 렌즈의 구조 X III> 뷰파인더의 종류와 유형별 분류 / Construction of camera - Viewfinder Type

 

<카메라와 렌즈의 구조 X III> 뷰파인더의 종류와 유형별 분류 / Construction of camera - Viewfinder Type

Notice - 일반적인 상식 수준에서 다루는 비전문적이고 깊이 없는 포스팅이므로 숨겨져 있을 오류와 논리적 비약, 수다쟁이의 헛된 망상에 주의가 필요하다. 필름 카메라가 주도하던 시기에는 촬영되는 상의 구도..

surplusperson.tistory.com

2017/01/08 - [사진과 카메라 이야기/카메라 구조와 작동 방식] - <카메라와 렌즈의 구조 X IV> 독립된 광학계로 구성된 RF type 광학 뷰파인더의 구조 / Construction of camera - Optical design of Viewfinder

 

<카메라와 렌즈의 구조 X IV> 독립된 광학계로 구성된 RF type 광학 뷰파인더의 구조 / Construction of camera - Optical design of Viewfinder

Notice - 일반적인 상식 수준에서 다루는 비전문적이고 깊이 없는 포스팅이므로 숨겨져 있을 오류와 논리적 비약, 수다쟁이의 헛된 망상에 주의가 필요하다. Notice - 일반적인 상식 수준에서 다루는 비전문적이고..

surplusperson.tistory.com

 

초기의 카메라 내장 광학식 뷰파인더는 시야가 매우 좁고, 어두워서 상을 확인하는데 불편했고, 렌즈 교환식 카메라에서는 다양한 초점거리(화각) 렌즈에 대응해야 해서 뷰파인더로 보이는 상의 크기/배율 또한 선택 폭이 크지 않았다. 표준 렌즈 사용이 많았으므로 사람의 맨눈(나안)과 비슷한 1:1 배율 또는 이보다 조금 작은 35mm 초점거리에 해당하는 배율 0.75 :1 정도가 RF 카메라 내장 뷰파인더에 주로 채택되었다. 

 

따라서, 여전히 많은 사진가는 상대적으로 크고 밝은 뷰파인더 상을 확인할 수 있는 이안 리플렉스나, 뷰 카메라 방식의 중/대형 포맷 카메라를 표준/고급 카메라로 생각했고, 135 필름 카메라의 경우, 작은 크기와 경량화로 인한 휴대성에 강점이 있는 카메라 즉, 지금 기준에서는 콤팩트(똑딱이) 카메라나 액션 카메라 정도로 자리매김하고 있었다고 생각된다. (오늘날 35mm 풀프레임? 카메라의 위상을 생각하면 격세지감을 느낄만하다) 이런 소형 카메라의 기술적 난점과 사용상의 불편을 해소하는데 일안 리플렉스 /SLR 카메라의 공헌은 꽤 컸다고 생각한다.

 

35mm 소형 판형 카메라의 인기는 1960년 대가 되었어야 만개했는데, 이는 카메라 대중화로 인한 인기, 편리하고 뛰어난 광학식 뷰파인더를 가지고 있는 그리고 합리적인 가격의 SLR 카메라의 등장, 그리고 로버트 카파, 까르티에 브레송 등으로 대표되는 사실주의 사진과 포토 저널리즘의 영향이 컸지 싶다. 물론 이런 소형 카메라의 인기의 과실은 고스란히 SLR 카메라와 콤팩트 카메라가 누렸으므로 그 이전까지 고급 소형 카메라로 자리매김했던 RF 카메라에게는 조금 쓰라린 과거의 역사겠다. 하지만, 곰곰이 생각해보면 SLR 카메라의 장점은 오래전부터 소형 카메라가 해결하지 못하던 여러 단점을 일거에 해결하는 당시 기준에서 카메라의 기술 혁신이라 해도 과언은 아니지 싶다. SLR 시스템의 장점은 이전에도 여러 번 다루었으니 생략하자.

 

 

▶ RF 카메라와 외장 광학식 뷰파인더

 

의식의 흐름에 편승한 만담류의 수다인 탓에 엉뚱한 이야기만 잔뜩 한듯하다. 다시 외장 뷰파인더 이야기로 돌아오자. 외장 광학식 뷰파인더가 초기에는 오롯이 RF 카메라를 위한 장치는 아니었지 싶다. 중/대형 카메라에 추가되어 구도 결정을 위한 보조 가늠 장치로 사용되었고, 순간 대응을 위한 캔디드와 스포츠 현장 촬영, 포토 저널리즘-르포르타주 사진 등을 위한 소형 카메라에 주로 활용되었지 싶다. 하지만, 카메라 자체에 훌륭한 광학식 뷰파인더가 내장된 이안 리플렉스와 일안 리플렉스 카메라의 등장 이후에는 외장 광학식 뷰파인더는 대부분 RF 카메라에 걸맞은 액세서리로 인식된다. 

 

SLR 카메라의 광학식 뷰파인더 시스템은 장점이 꽤 많은데, 미러와 펜타프리즘을 통해 실제 촬영되는 상을 좌우상하 반전 없이 확인하고, 별도의 기계적 연동 없이 상의 초점을 확인할 수 있으며(위상차를 이용한 스크린을 반사거울과 펜타프리즘 사이에 설치해서 시각적 차이를 더 명확하게 확인할 수도 있다), 교환 장착하는 렌즈의 초점거리에 따라 별도의 조작 없이도 뷰파인더의 시야 또한 연동되며, 따라서 장착되는 렌즈의 초점거리에 구애받지 않고 두루 사용할 수 있었다. 그리고 촬영되는 상과 동일한 상을 확인하므로 시차 문제도 없다. 초기에는 조리개를 조이면 뷰파인더가 어두워지는 문제와 촬영 후 미러가 올라와서 뷰파인더 시야를 가리는 문제가 있었지만, 개방 측광 기술과 퀵 리턴 미러 설계로 이 또한 해결되었다. 이런 차이로 인해 SLR 카메라는 RF 카메라가 갖지 못한 장점을 꽤 많이 가지고 있었고, 이는 사진가와 소비자의 선택으로 이어져서 SLR 카메라 독주 시대가 펼쳐진 원인이지 싶다. 

 

2017/01/03 - [사진과 카메라 이야기/카메라 구조와 작동 방식] - <카메라와 렌즈의 구조 X II> 일안 리플렉스 SLR 카메라의 광학식 뷰파인더 구조 / Construction of camera - Viewfinder of Single-Lens Reflex camera

 

<카메라와 렌즈의 구조 X II> 일안 리플렉스 SLR 카메라의 광학식 뷰파인더 구조 / Construction of camera - Viewfinder of Single-Lens Reflex camera

Notice - 일반적인 상식 수준에서 다루는 비전문적이고 깊이 없는 포스팅이므로 숨겨져 있을 오류와 논리적 비약, 수다쟁이의 헛된 망상에 주의가 필요하다. 출처: http://surplusperson.tistory.com/266 [산들산..

surplusperson.tistory.com

 

RF 카메라 또한 내장된 뷰파인더의 단점을 개선하기 위해 노력하지 않은 것은 아니다. '라이카 M3'에서 한층 밝아진 뷰파인더와 시차 문제 해결을 위하여 포커싱과 연동하는 밝은 윤곽 프레임 기능이 개발되었지만, 그렇다고 구조적인 모든 문제가 해결된 것은 아니어서 별도의 외장 액세서리가 렌즈와 함께 발매되는 경우도 많았다. 즉, 카메라의 내장 뷰파인더는 표준렌즈의 초점거리를 기준으로 하고 있었으므로 광각이나 준 망원 렌즈의 경우, 카메라 상단의 액세서리 슈에 장착할 수 있는 전용의 외장 광학식 뷰파인더가 제법 효과적이었다. RF 카메라의 경우 내장된 뷰파인더에 비해 외장 광학식 뷰파인더가 갖는 장점으로는 간편하게 교체 장착이 가능해서 다양한 렌즈에 전용의 대응이 가능하고, 내장 뷰파인더에 비해 상대적으로 밝고 넓은 시야를 제공하며, 렌즈의 광축과 동일한 좌우 축에 위치하므로 좌우 시차 문제에서 자유롭다는 점을 들 수 있다.

 

2017/01/02 - [사진과 카메라 이야기/카메라 구조와 작동 방식] - <카메라와 렌즈의 구조 X I> RF(거리계 연동식) 카메라 광학식 거리계의 원리와 구조 / Construction of camera -Rangefinder

 

<카메라와 렌즈의 구조 X I> RF(거리계 연동식) 카메라 광학식 거리계의 원리와 구조 / Construction of camera -Rangefinder

Notice - 얄팍한 상식 수준에서 다루는 비전문적이고 깊이 없는 포스팅이므로 숨겨져 있을 오류와 논리적 비약, 수다쟁이의 헛된 망상에 주의가 필요하다. Rangefinder(RF) 카메라는 광학식 거리계와 연동하는 포..

surplusperson.tistory.com

단점으로는 외장 뷰파인더의 효용을 높이기 위해서는 (특정 초점거리 렌즈에만 적용되는) 전용의 장치로 만들어야 했고, 카메라의 외부에 설치되어 렌즈의 광축과 일치하는 위치에 장착된다고 하여도, 근경과 원경 촬영에 따른 상의 아래와 위로 시차(parallax)가 발생하고, 단순히 촬영 범위만을 보여주므로 거리계 연동이 불가능해서 별도의 거리계를 이용하거나 목측식 촬영에 의존해야 한다. 그리고 모든 초점 렌즈에 효과적인 것도 아니고 포커싱 등의 조건을 생각하면 어느 정도 심도가 깊은 광각에서는 효용이 있지만, 초점거리가 긴 외장 뷰파인더의 효용은 낮다. 장착되는 렌즈와 연동이 쉽지 않아서 줌 렌즈용 외장 광학식 뷰파인더 등을 연상하기 어렵다.

 

 

간략히 소개만 하려던 것이 너무 길어져서 감당이 되지 않는다. 이후 카메라 발전사는 익히 잘 알려진 내용이니 참고용 이미지와 이전 수다 링크로 대신하자. 주요 방식에는 앞에서 주로 언급한 RF 카메라 방식의 뷰파인더 시스템과 이안 리플렉스/DLR의 광학식 뷰파인더, 그리고 너무도 유명한 일안 반사식/SLR의 광학식 뷰파인더 시스템이 있다. 

 

 

출처 - https://newsfeed.time.com/2013/12/22/a-snapshot-of-the-cameras-history/

 

 

 

1960년대 무렵의 SLR 카메라와 RF 카메라의 직접적인 차이는 광학식 뷰파인더 시스템의 차이를 제외하고는 적용된 기술이나 설계/구조적으로 거의 차이가 없는 동일한 형태의 카메라라고 생각한다. 이는 현재 DSLR과 디지털 미러리스 카메라의 경우와 비슷하다. 흥미로운 점은, 역사의 수레바퀴 아래에서 60년 지난 절반(180도) 정도 돌아간 것인지, 과거 필름 미러리스 카메라인 RF와 SLR 필름 카메라 경쟁에서는 필름 미러리스 카메라가 구식으로 몰려 완패한 역사가 오늘날에는 DSLR이 디지털 미러리스 카메라여 밀려 구식으로 내몰린 정 반대의 모습으로 거꾸로 재현되고 있는 현실이 아이러니하다! 이런 반전의 사건을 보면 무언가에 좌절했던 아픈 경험이 있더라도 오래 살고 보면 달콤한 복수의 기회가 오거나 평가가 달라져 있을 수도 있겠다.

 

 

▶ 디지털 카메라에서의 외장 광학식 뷰파인더 효용에 대하여

 

필름 카메라이든지 디지털 카메라이든지 카메라의 처지는 당시 소비자의 선호에 따라 입지가 뒤바뀌는 '뒤웅박(무엇을 담았는지에 따라 가치와 선호가 달라지는) 팔자'처럼 보이기도 한다. 하지만, 카메라에 내장된 우수한 광학 시스템 탓에 외장 광학식 뷰파인더의 처지는 그리 달라지지 않았지 싶다. 설상가상으로 디지털 카메라에서는 광학식 뷰파인더(OVF)를 전자식 뷰파인더 시스템(EVF)이 빠르게 대체해가고 있는 추세다. 물론, 전자식 뷰파인더의 성능이 그리 신통치 않은 부분에서 광학식의 외장 뷰파인더가 여전히 존재감을 드러내기도 하지만, 이미 백여년에 걸쳐 기술적 정점에 도달한 듯한 OVF 기술에 비해 EVF의 기술 발전 여지는 충분해서 단순히 기존 OVF만의 장점을 고집하는 방식으로는 EVF와 경쟁에서 우위에 서기 어려워 보인다.

 

하지만, 뷰파인더 자체가 없는 후면 스크린만 있는 디지털 카메라에서는 기존 카메라의 뷰파인더의 효용을 대체할 목적으로 종종 사용되기는 하고, 단순하고 별도의 전원을 사용하지 않으며, 실제의 모습을 딜레이 없이 보여주는 장점은 있다. 그리고 최근 카메라에 구현된 쾌적한 AF 시스템 탓에 포커싱 확인이 되지 않는 단점도 어느 정도 해소되지만, 여전히 해결되지 않은 시차(Parallax) 문제와 장착되는 렌즈의 초점거리에 따른 효용 문제는 남지 싶다.

 

<출처> https://www.cameraquest.com/

근래 제품화된 외장 뷰파인더의 특징을 살펴보면, 대부분 사람의 일반적인 원근감보다는 보다 원근감이 강조된 즉, 시야가 넓은 광각의 제품이 대부분이다. 외장 광학식 뷰파인더 자체가 광각 렌즈의 짝으로 주로 사용되었고(장초점에서는 효용이 신통치 않다), 더구나 디지털 카메라에서는 확대 기능이 뛰어나고 망원 계열의 뷰파인더는 찾기 어렵다. 밝고 탁 트인 시야감을 위해 '역 갈릴레안' 타입(망원경과 반대 구성의 전면에 오목과 후면의 볼록 렌즈 구성)의 뷰파인더이고 아래의 VF-X21의 광학식에서 보듯이 광각의 경우 왜곡을 억제하고, 윤곽 도움선 표시를 위하여 몇 가지 요소가 추가된 형태다. VF-X21 등은 아마도 코시나(현재 보이그랜더 렌즈 제조사)에서 설계/제조한 제품을 타사에서 주문자 상표 부착 방식으로 유통되고 있는 것으로 생각한다. 

 

 

 

 

 

 

 

이런 일반의 취향이나 물건 자체의 효용과는 별개로 외장 광학식 뷰파인더 자체를 개인적으로 꽤 좋아하고 RF 카메라에 물려 종종 사용한다. 특히 구형의 필름 RF 타입의 카메라와 잘 어울리고 효용도 좋은 편이다. 정확하고 정밀한 촬영 작업에는 어울리지 않지만, 순간 포착 등의 스냅사진 스타일에 잘 맞고, 바로 눈앞 현장의 생생함을 즐기면서 덤으로 사진까지 얻는 촬영에 잘 어울린다. (물론 광각의 뷰파인더만 선호하고 망원류 광학식 뷰파인더는 효용이 정말 별로라서 쓸 일이 없다)

 

광각의 외장 광학식 뷰파인더는 눈앞에 펼쳐진 상황을 압축하여 작은 창으로 보여주는데, 넓은 시야 탓에 그리 답답하지 않고 뷰파인더로 들여다보는 광각의 뷰파인더 탓에 조금 압축되어 왜곡된 세상을 구경하는 묘한 맛이 있다. (광각 뷰파인더로 보는 세상은 걸리버 여행기에서 소인국에 간 걸리버의 시각/시선처럼 느껴진다) 불편해서 더 정이 가는 구형의 RF 필름 카메라와 잘 어울린다. 외장 광학식 뷰파인더의 방식 자체가 최신의 것과는 거리가 있어서 그런지 올드 카메라에 요즘 외장 뷰파인더를 장착해도 어색하지 않다.

 

하지만, 기능 많은 요즘 카메라에서는 대체할 방법이 충분히 있어서 반드시 필요하다고 말할 수 없고, 번거롭고 거추장스럽게 여기는 의견도 충분히 공감한다. 간혹 SLR 타입의 카메라에서도 미러박스 안쪽까지 돌출한 렌즈 등을 사용할 때는 카메라 내장의 광학식 뷰파인더 사용이 제한되므로 예외적으로 효용이 있는 경우도 있다.

 

 

 


"); wcs_d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