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헬리코이드

라이카 M to 디지털 미러리스 카메라 헬리코이드 어댑터에 대한 사사로운 감상 (II) _feat. Shoten L.M-S.E Macro(L) / Review of Leica M to Digital Mirrorless Camera Helical Adapter Notice - 얄팍한 상식 수준에서 다루는 비전문적이고 깊이 없는 포스팅이므로 숨겨져 있을 오류와 논리적 비약, 수다쟁이의 헛된 망상에 주의가 필요하다. 라이카 M(이하 L/M) 마운트 렌즈는 라이카의 레인지파인더 카메라 교환 장착용의 맞춤/전용 렌즈다. 플랜지 백 거리는 27.8mm로 18~20mm의 디지털 미러리스 카메라에 비하면 길어서, L/M 마운트 플랜지 백 거리를 10mm 내외의 길이를 보상하는 어댑터 활용으로 디지털 미러리스 카메라에도 장착하여 활용할 수 있다. 일안반사식의 미러박스 시스템 탓에 긴 플랜지 백 거리를 갖는 SLR 카메라용 렌즈에 비교하면 L/M 마운트의 광각과 표준 초점거리 렌즈는 '경박단소'(가볍고 경통이 얇고 짧고 작음)의 특징이 뚜렷하다. 단점이라면, 레인지파인더 카메..
<카메라와 렌즈의 구조 X> 카메라 렌즈의 포커싱을 위한 헬리코이드와 캠 구조 / Construction of camera - Helicoid & Cam system Notice - 일반적인 상식 수준에서 다루는 깊이 없는 포스팅이므로 숨겨져 있을 오류와 논리적 비약, 수다쟁이의 헛된 망상에 주의가 필요하다. 카메라 렌즈는 일반적으로 내부의 광학 구성요소(Element) 전체 또는 특정 요소 또는 요소 군의 간격을 조정/변화시켜 포커싱(초점 조절)이나 줌(초점거리-화각- 변경)이 작동하는 구조다. 렌즈의 개발/제품화 과정은 수학적 계산에 따라 렌즈 광학부의 각 요소의 굴절률(구면 곡률과 Element의 구면 곡률과 광학유리의 재질에 따라 굴절률은 달라진다)과 간격을 조정하여 원하는 광학적 배율을 구현하도록 설계되고 이 설계상의 렌즈를 현실에서 실물/제품으로 구현하고 사용자 편의에 맞게 작동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틀과 구동 장치(광학 유리로 구성된 광학부와 광학 유리 ..

"); wcs_d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