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Stories about photography and cameras/One more step

사진, 그리고 한 걸음 더. 2 - 사진과 디지털 후반 작업(포스트-프로덕션)-후 처리에 대하여 / Photography & Post-production(Post-processing)

Notice - 상식 수준에서 다루는 비전문적이고 깊이 없는 포스팅이므로 숨겨져 있을 오류와 논리적 비약, 수다쟁이의 헛된 망상에 주의가 필요하다.

 

 

필름 사진에서 디지털 사진(이미지)으로 대 전환?이 이루어진 이후 촬영과 사후 디지털 편집(후반 작업) 방식은 전용 보정 소프트웨어 툴/앱을 이용해서 매우 간편해지고 구현할 수 있는 효과도 훨씬 다양해지고 강력해졌다. 필름 사진에서도 현상과 인화를 거치면서 편집되고 의도한 효과를 얻기 위한 현상과 인화 과정에서 정교한 후반 작업이 있었지만, 디지털 사진에서의 편집의 자유도와는 비교하기 어려울 정도로 차이를 보이는 것이 사실이다. 사진 촬영 후 후반 작업/편집에서는 촬영 시에 미흡했던 노출, 색온도, 대조의 정도를 실제에 가깝게 보정(correction, compasation)하거나 사진 프레임의 일부를 재구성하고 화면비를 조정하는 보완과 수정 이외에도 사소한 잡티 제거에서 계조나 질감, 특정 색의 강조, 색 정보의 변경 등등의 가공 등으로 실로 다양하다. 최근에는 포토샵 등의 툴을 활용해 픽셀 유동화(리퀴파이)로 촬영된 이미지 내의 사물 외형이나 윤곽에 대한 직접적인 변경이 가능하고 다른 이미지의 일부를 합성하기도 하여 전혀 새로운 사진으로 구성할 수 있으며 한 걸음 더 나아가 디지털 그래픽으로 감쪽같이 새로운 물체를 이질감 없이 첨삭하는 작업 등등, 상상력과 사진 편집 툴 사용의 능력만 있으면 구현하지 못할 이미지 효과는 없는 것 같다.

이렇게 후반 작업과 편집을 거치면서 변형되고 합성된 사진을 어떻게 받아들여야 할까. 있는 그대로의 현상을 담는 사진의 기본 원리에 충실하다면 이는 사진의 본질을 훼손하는 행위라고 생각할 수 있지 않을까. 일반적으로 인정되는 사진의 '있는 그대로의 재현력'이라는 점과 촬영 후 편집에 의해 쉽게 '변형/조작되는 디지털 사진의 속성' 사이의 간극을 어떻게 받아들여야 할까. 이는 여러 의문을 정리하면 "사진 작업에서 디지털 후반 작업의 정도나 비중은 어디까지 허용하여야 하는가"의 문제가 아닐까 싶다. 편집이나 후반 작업의 필요성, 허용 정도에 대한 기준은 여러 다양한 이유로 저마다 다르고 일률적인 기준이 확립되어 있는 것 같지는 않으며 촬영자가 개별적으로 정의하기는 곤란해 보인다. 어떤 사진에서는 촬영 후 편집에 대해서 스스로 관대해지고 어떤 유형의 사진에서는 매우 편협하고 완고한 기준이 있는 듯하다. 어떤 이유에서 정도의 차이가 발생하는지 궁금하다.

이전 수다에서 여러 번 밝혔듯이 사진에 대한 전문 지식이 전혀 없으며, 타고 난 게으름과 나태한 성격 탓에 그 흔한 사진 강의 한번 제대로 들은 적 없었다. (때로는 직접 경험하지 않고 사진 강의 등에서 대충 넘겨들은 촬영 이론이나 강학 상의 지식이 도리어 실제 촬영에서는 더 헤매고 혼란하게 하는 것이 아닌가 싶기도 하다) 제대로 아는 것이 없다 보니 이리저리 고민하고 시행착오도 제법 많이 겪었던 것 같다. 사진 촬영에 대한 소소한 기술이나 정보에 대해서 알아 갈수록 사진의 본질에 대해서 생각하는 시간도 자연히 늘었고, 스스로 만든 허섭한 결과물을 보면 이리 엉망이고 마음에 드는 사진 하나 없을까 하는 한탄과 함께, 사진의 의미와 좋은 사진 등에 대한 잡다한 생각이 꼬리를 물었다. 사진에 대한 물음에는 사진 자체의 본질적인 모호함과 다양한 사진에 대한 이해 부족으로 뾰족한 해답을 찾기 어려웠다고 사실 지금도 잘 모르겠다. 내가 좋으니 된 것 아닌가라고 생각하면 마음은 편하지만 자꾸 생겨나는 물음에 아무런 답을 얻지 못했다.

이 수다의 수준은 개인적인 잡념에 불과하고 어디서 주어서 듣거나 책에서 읽은 개념을 무작위로 뒤섞여서 일응 아는 채하려고 노력하지만, 사실 그 생각의 깊이는 매우 낮고 논리의 근거도 아전인수 격으로 마구 끌어다 제 멋대로 사용하고 있지 싶다. 굳이 이런 허섭함을 알고 있음에도 장황한 주제에 대해 떠드는 것은 수다쟁이의 잡다한 생각을 정리해 보고 싶은 점이 제일 크고, 그 외에도 누구나 사진을 찍을 수 있고 웹 상에 SNS, 각종 커뮤니티를 통해 정말 너무도 쉽고 간편하게 배포, 공유 수 있음에도 사진의 촬영과 배포에 대한 제대로 된 논의가 부족한 것이 아닌가 생각하고 디지털 시대에 걸맞는 새로운 사진 담론이 활발하게 이루어지기를 바라는 마음 때문이다.

 

사진의 장르와 디지털 편집에 대하여

사진의 다양함은 장르로 나뉘어 보면 조금 더 이해하기 도움이 되지 싶다. 장르에 따라 편집(특히 디지털 편집)에 대한 일반의 기준/용인 수준이 다르지 싶다. 사진의 가장 본질적인 기능이라고 생각되는 과거 실재의 기록과 증명은 흔히 보도 사진이나 다큐멘터리 사진의 중요한 요소다. 이때의 사진은 과거 실재했던 순간을 기록하여 이를 현재 사진을 보는 이에게 시각적으로 전달/재현하는 역할에 높은 비중을 두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보도 사진이나 다큐멘터리 사진에서는 그 이미지가 사실적이고 별다른 변형이 이루어지지 않은 것이라는 믿음이 전제되어 있다. 이와 같이 과거의 사실을 있는 그대로를 기록한 사진이라는 것을 바탕으로 이루어지는 보도/다큐멘터리 장르의 사진에서는 디지털 편집은 최대한 억제되거나 아주 예외적으로 인정되는 것 같다.

  • 사실에 대한 자료와 증거로서의 사진

사진이 촬영되고 이미지화되는 과정은 과학적이다. 사진에 나타나는 현상의 대부분을 과학적 원리로 설명할 수 있고, 카메라나 렌즈의 구성에서 뿐만 아니라 촬영 이후 이어지는 시각화 과정. 즉, 디지털 현상과 인화(프린팅) 전 과정에서 물리적/광학적/화학적(필름의 현상과 인화, 프린팅)/디지털 변환과 프로세싱 등의 기술적인 정교함을 적용하기 위해서 노력한다. 하지만, 이런 과학적인 증거 능력으로 말미암아 사진은 각종 현상이나 사건이 있었던 것에 증거로 활용되고 일반적으로 이는 실제를 증명하는 수단으로 지금까지 통용되고 있다.

사진의 편집의 방법은 매우 다양하므로 편집을 하나의 의미로 좁게 또는 뭉뚱그려서 설명하기에는 곤란해 보인다. 단순히 노출이나 색온도를 일부 수정하는 것이나 사소한 프레임의 화면비 등을 조정하는 것도 편집이고 다른 이미지의 일부분을 첨삭하거나 여러 장의 이미지를 합성 등의 과도한 편집도 있을 수 있다.(때때로 기본 보정과 본 보정으로 구분하거나 색 보정의 경우에는 컬러 컬렉션/color correction과 컬러 그레이딩/color grading 등으로 행해지는 보정 작업의 실질적 내용에 따라 구분할 수도 있다) 보도/다큐멘터리에서의 편집의 인정되는 범위는 제한적으로 인정되고, 때로는 프레임의 재설정으로 인하여 실제의 현상이나 사건의 본질을 왜곡할 수 있는 위험이나 개연성에 항상 주의를 기울여야 한다. 이를 흔히 프레임 설정에 의한 사실의 왜곡이나 매스 미디어의 보도에서의 사실 왜곡에서와 같이 사후 편향된 프레임 구성이 사실을 손쉽게 왜곡하거나 조작할 수 있는 것이고 보도 사진은 오랜 세월 현실에 대한 자료와 증거로서 기능해 왔다. 과거 필름 시대에는 사실성을 전제하기 위한 보도 사진에서 이미지의 검은 테두리 등을 그대로 남겨두는 등 프레임에 의한 변형이 없음을 입증하려는 시도 등이 있었지만, 이 또한 디지털 시대에서는 그리 실효성이 있어 보이지는 않는다.

 

  • 시각적인 심미 추구의 사진

한편으론 사진은 이런 사실과 현상을 그대로 반영하는 증거의 명확성을 갖지만, 때로는 그 사진을 보는 사람으로 하여금 사진에 담긴 순간을 단순히 현재에 재현하는 것에 머무르는 것이 아니라 더 많은 생각/사고, 물음을 갖게도 한다. 사진으로 촉발된 생각들은 사진 자체 요인에서 기인한 것도 있겠지만, (사진 이미지에 국한된 것이 아니라) 관찰자(즉, 사진을 보는 사람)의 주관적이고 개인적인 사고나 감상의 연장선 상에 있다고 할 것이다. 이런 사진은 암시를 동반하고, 때로는 이런 암시와 모호함이 보는 이에 따라 다양한 사고를 불러일으켜 (사고나 감정을 발생/변화시키는 기제로 작용) 시각적인 숨겨진 함의를 전달하는 수단/매개로서도 작용하는 것은 아닐까 싶다. 사실과 현상에 대한 증거/증명으로서의 사진을 파악하는 것과는 확연히 구별되며, 이는 인간의 가장 오랜 예술 중 하나로 꼽히는 회화의 암시성과 모호함과 유사해 보인다. 따라서 이런 사진은 흔히 예술 사진이라고 불리는 장르이고 추상적으로 표현되기도 한다. 각종 갤러리 전시회에 내걸리고 때로는 판매되는 예술 사진의 상당 부분은 회화(미술) 예술품과 몹시도 닮았다.(예술 사진이 미술의 전시/유통 방식을 모방한 것일 게다)

상업 사진 또한 시각적인 심미(멋스러움)를 추구하는 사진 장르로 보아야 하지 싶다. 상업 사진의 의도는 단순한 사실의 재현이나 증명을 넘어서 '상업'이 본래 의도하는 함의(含意-이미지 제고나 구매욕 자극이나 제품 홍보 등)를 시각적으로 전달하는 것이다. 따라서, 감각적인 자극 극대화를 추구하고 지극히 탐미적이며 때로는 과장되게 꾸며지며 자연 그대로 보다는 연출된 것이 더 효과적임은 당연하다. 

상업적 용도의 이미지로 활용하기 위해 자료화된 유형인 '스톡 사진' 또한 주목할 필요가 있다. 앞에서 언급한 역사적 사실의 자료화의 한 형태였던 다큐멘터리 사진 등과는 사뭇 다른 상업적 용도로 사용하기 위해 일종의 데이터 베이스화 된 자료화의 사진이라고 할 수 있다. 즉, 스톡 사진(stock photography)은 일종의 광범위한 용도로 사용하기 위해 공급된 사진이며 하나하나가 독립된 이미지일 수도 있고 파편적/일부분/또는 매우 추상적인 형태 등 용도에 따라 다양한 시각적 이미지로 만들어지고 보관된다. 일반적으로 상업적 사용을 위해 데이터 베이스화 된 이미지 정도로 이해할 수 있지만,  상업적이라는 굴레에 얽매일 이유 또한 없는 한마디로 사진의 장르로 인정하기는 어렵지만, 그 범위는 매우 넓어 보인다. 의미야 어쨌든 스톡 사진은 용도에 알맞게 또는 쉽게 사용되기 위해서 잘라지고 편집되는 디지털 편집이 광범위하고 적용되는 사진이다.

굳이 덧붙여 강조하지 않아도 예술 사진과 상업 사진에서의 편집(디지털 편집을 포함한 촬영 전/후의 모든 편집)은 매우 폭넓게 인정되고 있는 듯하다. 사실 촬영 이전에 이미 의도된 촬영 환경의 통제는 실제 존재하는 것이라는 점에서는 의문의 여지는 없지만, 해당 촬영 공간이 각 구성은 인위적으로 만들어진 것이고 상황 또한 연출된다. 따라서 사전의 이런 의도와 설정은 실재의 증거/증명이라는 의미는 퇴색된다. 따라서 촬영 후의 편집 또한 당연한 연출의 연장선에서 인정되는 것이 아닌가 싶다.

하지만, 이런 인정이나 용인의 정도는 항시 모두에게 꼭 들어맞는 적용되는 기준은 아닌 듯하다. 흔히 사진 출품전? 등에 출품된 과도하거나 엉성하게 디지털 편집된 사진을 보면 의아하기도 하다. 사진의 본질에 대한 다양한 기준과 각자 가치를 두는 바의 차이 때문이지 싶지만, 때로는 아무리 이해하려 노력해도 수긍하기 어려운 점도 있다. 저급한 수준과 낮은 예술적 감각을 가진 수다쟁이의 눈높이 때문이라고 한다고 해도 달리 반박할 생각은 없지만, 그리 추상적이지도 않고 많은 생각을 촉발하지도 않아서 예술성을 도통 모르겠고 스스로의 기준에서는 그리 심미적이지도 않아 보인다.

제36회 대한민국 사진대전 대상작 '환희'

▷ 이미지 출처 - https://www.huffingtonpost.kr/entry/story_kr_5afd2cf4e4b0779345d5efb4

상업 사진은 광고/홍보용의 이미지 사진뿐만 아니라 광범위한 용도로 편집되는 것을 전제로 제작된 스톡 사진 등에서 보듯이 일정 수준의 편집을 전제로 하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그리고 상업 사진을 보는 이들 또한 실제보다는 과장되고 꾸며진 이미지라는 것을 알고 있고, 광고를 보는 사람의 입장에서도 일정한 연출과 사후 편집이 이루어진 것에 대해 관대하다. 예술 사진은 심미적 추구의 가장 대표적인 예라고 할 수 있고, 사실을 기록이나 증명과는 한참 동떨어진 예술을 표방하는 사진 장르이므로 촬영 시 실제 사물의 구도를 설정하고 프레임 구성의 작위적인 설정 촬영 후 (디지털) 편집 작업에 있어 작가의 창의적인 개입을 통해서 완성되므로 사전과 사후의 편집(연출) 자유는 매우 넓게 인정되지 싶다.

아마추어 사진 애호가로서 사진의 정의와 특징을 이해하거나 자신의 사진 세계를 정의하는 데 있어서 기록과 증명으로서의 자료로서의 사진과 시각적 심미를 추구하는 사진, 그리고 복합적이며 숨겨진 함의를 전달하기 위한 사진 사이에서 고민하게 되는 듯하다. 특히 이런 고민은 개인 사진에서 두드러진다. 개인 사진의 의미는 객관적일 필요가 없는 순전히 주관적인 의미가 사진의 특징이라고 생각한다. 일반적이고 객관적이어야 할기록이나 자료화, 그리고 증명을 목적으로 하는 사진에서 디지털 편집은 그리 좋은 방법은 아니겠지만, 이미 태생적으로 주관적일 수밖에 없는 개인 사진에서의 기록의 의미는 조금 다른 의미라고도 생각한다. 개인 사진에서 이런 감정적인 기록이나 자료화 또한 의미 있는 것이 아닐까. 무미건조한 일상의 기록보다는 그 순간의 자신의 생각이나 느낌까지 오롯이 기록한다면 더 의미 있는 개인 사진이 될지도 모르겠다. 그렇다면 이런 감정이나 주관을 표현하는 디지털 편집 또한 용납 못할 일은 아니지 싶다. 하지만, 심미적인 추구와 예술적 함의 측면에서는 그리 소극적일 이유 또한 없지 않을까.

객관성과 리얼리티를 전제로 한 보도 사진이나 어떤 사실을 증명하기 위한 증거 사진에서 촬영 후 디지털 편집은 매우 제한적으로만 인정될 수밖에 없겠다. 이는 해당 사진의 촬영 목적과 직접 관련 있다. 증명이나 기록을 위한 것이라도 보도를 위한 사진과 다큐멘터리 사진의 경우에는 조금 차이를 보일 수 있다. 둘은 일응 비슷한 지점이 있지만, 보도 사진은 미디어의 기능에 좀 더 중점을 둔 반면 다큐멘터리 사진은 이를 만드는 이의 의도와 다큐멘터리 사진 자체가 가지는 목적에 의해 단순히 사실이나 현상의 나열이 아니라 의미를 부여하는 일종의 연출과 편집이 결합되는 것이라고 생각된다.

디지털 기술이 지배하는 현재에서 사진/이미지의 증거 능력은 큰 위협을 받고 있는 것 또한 사실이고, 언제든지 특정 의도에 따라 조작될 가능성이 있는 것 또한 디지털 이미지가 아닌가 생각한다. 하지만 이런 가능성 때문에 디지털 편집을 공공연하게 광범위하게 모든 사진에서 인정할 필요는 없지 않을까. 특히 무분별한 디지털 편집은 사진의 본질에 반하는 것이라는 거부감 또한 여전히 존재하고 더 조작이나 변형이 가능할수록 이런 거부감은 더 강화되고 있는지도 모르겠다. 그리고 우리가 인정하는 멋진 사진은 결정적인 순간을 담기 위한 사진가의 노력과 그 감각적이고 뛰어난 포착 능력에 대한 찬사가 아닐까. 너무 쉽게 이루어지는 디지털 편집에 의해 쉽게 만들어지고 설정된 사진은 이런 전제가 없으므로 그것이 대단히 보기에 멋질지 몰라도 좋은 때로는 정당한 사진으로 인정하기 어려운 것은 아닐까. 서두에서 밝혔듯이 디지털 편집의 범위는 매우 넓어서 단순히 디지털 편집이라 퉁치는 것은 너무 심한 비약이고 게으름이라는 것을 인정하지 않을 수 없다. 하지만, 무슨 결론을 혼자서 내릴 수도 없거니와 결론이 쉽게 얻어질 문제도 아닌 듯하다. 각자 고민해볼 문제가 아닐까 생각한다.

 

허술한 수다에 좀 더 보충하여 사진 후반 작업과 후보정에 대하여 정리한 내용으로 아래 링크를 참고하는 것이 좋겠다.

 

2020/03/02 - [사진과 카메라 이야기/사진 그리고 한 걸음 더] - 디지털 이미지의 보정과 보간 그리고 사진 후반 작업(후 처리) / correction & compensation, Post-production & Post-processing

 

디지털 이미지의 보정과 보간 그리고 사진 후반 작업(후 처리) / correction & compensation, Post-production & Post-processing

Notice - 얄팍한 상식 수준에서 다루는 비전문적이고 깊이 없는 포스팅이므로 숨겨져 있을 오류와 논리적 비약, 수다쟁이의 헛된 망상에 주의가 필요하다. 사진의 후보정 여부를 묻거나, 후보정의 필요성에 대한..

surplusperson.tistory.com

 


"); wcs_d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