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Stories about photography and cameras/Camera structure and how it works

<카메라와 렌즈의 구조 X X II> SLR 뷰파인더 시야율과 배율 / Viewfinder frame coverage & magnification - SLR camera

Notice - 얄팍한 상식 수준에서 다루는 비전문적이고 깊이 없는 포스팅이므로 숨겨져 있을 오류와 논리적 비약, 수다쟁이의 헛된 망상에 주의가 필요하다.

 

 

카메라의 구조에서 있어 특히 관심이 가는 부분은 파인더의 구조와 방식에 대해서다. 원활한 사진 촬영을 위해서는 무엇보다 잘 보는 것이 전제되어야 함은 너무도 당연하다. 전통적인 광학식 파인더 방식에는 카메라의 광학계(렌즈)와 구분되는 별도의 파인더 만을 위한 광학계를 가지는 레인지파인더 , 이안 리플렉스, 그리고 거리계와 연동 기능은 없지만 RF 카메라와 유사한 독립된 광학계의 뷰 파인더를 가지는 콤팩트 카메라가 있고, 이와 대척점에는 실제 촬상면에 맺히는 상을 반사 거울과 펜터 프리즘으로 구성된 미러박스를 통해 굴절하여 볼 수 있는 일안 반사식이 있다. 일안 반사식의 광학 뷰파인더는 렌즈의 초점 조절에 따른 상의 선명도와 심도의 변화 직접 확인할 수 있어서 무엇보다 매력적이다. 그리고 최근에는 EVF 방식을 활용한 디지털 미러리스 카메라들이 새로운 유형의 뷰파인더 기술로 급부상하였다.

 

최근 디지털 카메라에서 후면 액정을 통해 라이브 뷰 형식으로 뷰파인더의 기능을 어느 정도 대체 가능하다. 따라서 뷰파인더가 생략되고 후면의 디스플레이 장치만으로 피사체를 확인하고 구도를 잡는 것도 가능하다. 하지만 단점이 전혀 없는 것은 아닌데, 광학식에 비해 실제 상과 뷰파인더 상에 표시되는 상 사이에 약간의 시차(時差)가 존재하고, 주변의 광량이 풍부한 주광 촬영 경우에 후면 LCD 디스플레이의 시인성이 떨어지는 점 등이 단점이다. 따라서 EVF나 별도의 액세서리로 뷰파인더를 장착할 수 있는 유형의 카메라도 자주 보인다. 따라서 뷰 파인더를 이제 카메라의 필수적인 요소라고 말할 수는 없지만 여전히 유효하고 효율적으로 카메라의 특징징인 기능을 발휘하게 하는데 중요한 요소라고 할 것이다.

 

각 뷰파인더 시스템은 각각의 특성과 장단점으로 선택의 폭을 넓혀주지만, 어떤 뷰파인더 방식이 일반적인 소비자 모두의 취향을 한 번에 만족시키는 방식은 아직 존재하지 않는 듯하다. 그리고 자신의 사진 촬영 방식에 가장 잘 어울리는지에 대해서 직관적으로 알기는 어렵고 따라서 각자의 취향이나 감성적인 부분에서도 호불호가 갈린다. 여러 뷰파인더 방식을 두루 사용해보고 체감하여 깨닫기에는 비효율적이므로 각 파인더의 특징에 대해 비교해 보고, 이전 구조적인 접근의 연장선에서 이번 포스팅에는 '시야율'과 '배율'이라는 기준으로 좀 더 자세히 알아보자.

 

2017/01/03 - [사진과 카메라 이야기/Camera & Lens Structure] - <카메라와 렌즈의 구조 X II> 일안 리플렉스 SLR 카메라의 광학식 뷰파인더 구조 / Construction of camera - Viewfinder of Single-Lens Reflex camera

 

<카메라와 렌즈의 구조 X II> 일안 리플렉스 SLR 카메라의 광학식 뷰파인더 구조 / Construction of camera - Viewfinder of Single-Lens Reflex camera

Notice - 일반적인 상식 수준에서 다루는 비전문적이고 깊이 없는 포스팅이므로 숨겨져 있을 오류와 논리적 비약, 수다쟁이의 헛된 망상에 주의가 필요하다. 출처: http://surplusperson.tistory.com/266 [산들산..

surplusperson.tistory.com

 

 

SLR 뷰파인더 시야율 / Frame coverage

 

SLR 광학식 뷰파인더에서 주요한 사양은 시야율인데, 촬영되는 상의 어느 범위까지 뷰파인더에서 보여줄 수 있는가가 중요하다. 이상적인 시야율은 100%를 초과하는 것이지만 이는 미러박스와 펜타프리즘 그리고 뷰파인더의 크기가 커지고 제조 비용이 증대하며 소형화를 어렵게 한다. 따라서 플래그 쉽 모델을 제외한 중급기에서는 일반적으로 90% 초/중반의 시야율을 가진다.

 

일부 리뷰 등에서 DSLR 뷰파인더의 시야율과 배율을 표시하는 경우가 있는데, 이때의 배율은 특정 초점거리(화각)의 단렌즈, 즉 표준 렌즈를 장착하였을 때의 뷰파인더 배율을 의미하며, 시야율에 있어 SLR 카메라와 DSLR 카메라는 동일한 조건이 적용된다.

 

Canon EOS 7D로 인해 야기되었던 시야율 '약' 100%의 논쟁은 시사하는 바가 크다. 이와 관련해서는 완벽한 시야율 100%의 구현하는 것이 어렵고 미미한 오차가 발생할 수 있음을 의미하는 약 100%로 표현하였는가와 실제 약 98% 수준의 시야율을 제공하지만 이를 약 100%로 홍보하는 것인지에 대한 진의 여부가 문제 되었다.

 

 

 

시야율이 100%에 미치치 못한다는 점은 뷰파인더로 확인한 구도 외 부분이 촬영된다는 것을 의미하고 이는 촬영자가 의도한 구도의 미묘한 차이를 유발하거나 뷰파인더에 보이지 않은 피사체가 포함될 가능성이 있다.

 

 

 SLR 뷰파인더의 배율 / magnification

 

SLR 카메라의 뷰 파인더에 대해 언급할 때 파인더의 배율은 그다지 중요하게 다루어지지는 않는데, 교환 장착하는 렌즈의 초점거리가 변화하는 것에 따라 뷰파인더의 배율도 변하기 때문이고, 자동 초점 기능이 카메라에 일반화되면서 뷰파인더로 보이는 상의 배율에 따른 수동 포커싱 편리성의 유리한 점이 사라진 이유도 한몫을 하고 있다고 생각한다. (그러나 레인지파인더 카메라의 광학식 뷰파인더는 SLR 광학식 뷰파인더와 달리 배율의 의미가 중요하게 다루어진다. 이에 대해서는 별도의 포스팅에서 다루어 보자) 그렇다고 SLR(DSLR) 카메라의 뷰파인더 배율이 전혀 의미 없지는 않다. 종종 DSLR 카메라 사양에 표시되는 파인더 배율은 표준 렌즈를 장착하였을 때 뷰파인더를 통해 보이는 이미지의 크기를 실제 사람의 눈으로 본 크기와 비교하여 배율로 표시하는 데, 그 배율의 정도에 따라 뷰파인더의 개방감이나 피사체 구도를 한눈에 파악하는 것 등에 차이가 발생한다.

 

1:1  배율은 사람의 눈(맨눈/나안)과 동일한 배율을 뜻한다. 흔히 표준 렌즈를 장착하였을 때, 뷰 파인더에서 보이는 상이 인간의 일반적인 시각의 배율과 동일함을 의미한다. 즉, 뷰파인더를 통해 보는 상과 그냥 보는 눈의 상의 크기가 같으므로 양쪽 눈을 뜨면 동일한 크기로 보인다. (이를 양안 촬영이라고 칭하는데 그러나 RF 카메라의 뷰파인더와 달리, SLR 카메라는 렌즈의 입사구와 뷰파인더 접안부의 물리적 높이 차이로 발생하는 시차(Parallax)로 인해 동일한 배율로 조정되어도 상이 미묘하게 상하로 초점 맞추는 것이 어렵고 그 탓에 어지럽고 그리 효과적이지 않다)

 

배율이 높을수록 파인더를 통해 피사체를 보다 크고 자세하게 확인할 수 있어서 장점이 매우 많지만, 동일한 화각에서 더 높은 배율의 파인더는 표시되는 전체 상의 크기 또한 커지게 한다. 그리고 뷰 파인더로 볼 수 있는 상이 너무 넓은 경우에는 한눈에 피사체의 구도를 파악하는 것에 곤란을 겪기도 하여서 구도의 주변부를 파악하기 위해서는 눈동자를 상하 좌우로 굴려야 하는 문제도 있다. 그리고 배율이 큰 파인더는 좁은 카메라의 구조상 설계에 한계가 있고 펜타프리즘 및 미러박스를 소형화 등의 기술적 문제와도 관련된다.

 

 

 

따라서 일반적인 35mm 프레임 SLR 카메라의 뷰파인더 배율은 약 0.7~0.75 정도의 배율이 적용되는 경우가 많다. 0.7의 배율을 유지하는 또 다른 이유 중의 하나는 뷰파인더 주변부에 촬영 관련 정보(촬영 모드, 조리개 값, 셔터 스피드, 노출 적정 표시, 화이트 벨런스, 포커싱 정보 등등)를 표시하기 위한 공간이 필요한 이유도 있다. 뷰파인더의 배율이 작아진다는 것은 이미지의 상의 크기가 작아짐을 의미하고 SLR 광학 뷰파인더의 구조상 렌즈로 입사한 광선이 보다 작은 상으로 구현되는 집광 효과로 인해 뷰파인더의 상은 밝아지는 점은 장점이다. 뷰파인더의 배율은 제조사 또는 제품 모델에 따라 차이가 있을 수 있으며, 이런 차이로 인해 뷰파인더를 보면 시원하게 탁 트인 개방감을 느끼거나 그 반대의 느낌, 또는 작지만 밝은 뷰파인더 시야 등으로 나타날 수 있다. 각 카메라의 뷰파인더 사양에서는 배율과 시야율을 자세히 표시하고 있다. (결과적으로 SLR 방식의 뷰파인더는 장착된 렌즈의 초점거리에 따른 배율이 다르게 적용되고, 위에서 말한 뷰파인더 배율은 장착된 렌즈의 배율 x 뷰 파인더의 배율이 되고, 이 배율이 실제로 우리가 SLR 카메라의 뷰파인더로 보는 상의 크기라고 할 수 있다)

 

수종의 SLR 카메라의 뷰파인더 배율 비교가 적정하기 위해서는 첫째, 촬상면의 크기(필름이나 이미지 센서의 규격)가 동일해야 하고, 사람의 일반적인 눈의 배율을 기준으로 하거나 장착되는 렌즈의 초점거리를 동일하다는 전제하에 비교하여야 의미가 있다.

 

이미지 출처 - https://www.dpreview.com

 

 

한 가지 유념할 부분은 이미지 센서의 크기에 따라 뷰파인더의 배율 또한 차이를 보이는 점이다. 예를 들어 35mm 프레임 이미지 센서의 경우에는 약 0.7 배율이 적용되고 APS-C 이미지 센서가 적용된 카메라에서는 약 0.95 배율 등이 적용된다고 한다면, 이 두 카메라의 뷰파인더 배율은 큰 차이를 보인다고 할 수 있다. 하지만, 실제 뷰파인더를 통해 보는 상의 크기는 크게 차이 나지 않는다. 이는 이미지 센서 크기에 따라 실제 촬영 화각이 다르기 때문이며, 따라서 실제 보이는 뷰파인더 상의 크기 또한 다르며, APS-C 카메라의 뷰파인더 0.95 배율이 FF 카메라의 뷰파인더 배율보다 큰 이미지 상을 제공함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 (이는 APS-C가 장착된 카메라에 장착된 렌즈로 인해 실제 촬영되는 이미지의 화각 계산을 위해 환산 비율로 계산하는 것과 유사하다) 필름을 촬상소자로 사용하는 SLR 카메라는 대부분 35mm 프레임 규격이 적용되는데 예외적으로 올림푸스 F는 하프 프레임 규격으로 APS-C 규격과 유사하며, DSLR 카메라는 이미지 센서 크기에 따라 35mm 프레임, APS-C, 마이크로-포서드 규격이 각각 다른 조건의 뷰파인더 배율이 적용된다.

 

35mm (135) 필름 포맷 수동 필름 카메라에서는 0.7~0.9 사이의 뷰파인더 배율이 보다 다양하게 나타나는데 이는 뷰파인더가 촬영 구도를 결정하는 것뿐만 아니라 수동 포커싱 문제를 해결하여야 했기 때문이라고 생각한다. 따라서 배율이 클수록 정확한 수동 포커싱에는 도움이 되었지만, 피사체의 프레임/구도를 잡는 측면에서는 큰 배율의 뷰파인더는 커진 배율만큼 시야율이 줄어드는 문제가 있었다. 따라서, 이러한 상반된 요소(장단점)의 최적화를 위해 다양한 배율의 시도가 있었다. 포커싱 스크린 등의 기술로 수동 포커싱의 편의성이 증대되고, 이후 AF 방식이 일반화되면서 점차 시야율이 100% 근접하도록하고 뷰파인더의 배율은 줄어드는 경향이 있어 보인다.

 

일부 뷰파인더 액세서리 중에는 뷰파인더 배율 확대기 등이 있는데 이는 약시나 노안 등을 보완하 기고 포커싱의 이점을 위해 장착하였다. 하지만 상이 흐려지는 단점과 고배율로 인해 프레임 일부만 보이는 즉, 시야율이 좁아지는 단점도 있다. 최근의 디지털카메라에서는 이미지 확대 기능을 통해 포커싱에 이점을 살릴 수 있으므로 그리 큰 효용이 있어 보이지는 않는다.

 

 

레인지파인더(Rangefinder)의 시야율과 배율은 SLR 카메라와 유사하지만, 조금 다른 차이를 보이는데 이에 대해서는 언급할 내용이 꽤 많으므로 별도의 포스팅으로 다루어보자.


"); wcs_do();